logo
“남북 긴장 완화엔 일희일비 않겠다”…이재명 대통령, ‘꾸준한 대화’ 기조 재확인
정치

“남북 긴장 완화엔 일희일비 않겠다”…이재명 대통령, ‘꾸준한 대화’ 기조 재확인

권하영 기자
입력

남북관계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에서 긴 호흡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의 불신과 적대 상황을 언급하며 “짧게 보지 않고 길게 가야 한다”는 대북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 북한의 즉각적 호응을 기대하기보다 꾸준한 소통과 협력 노력이 필요하다는 신중론이 강조되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은 너무 적대화되고 불신이 심해서 북한과의 관계 개선이 쉽지 않을 거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남북이 확성기와 소음방송 중단에 상호 신속히 호응한 점을 언급하며 “북한이 너무 빨리 호응해서 저도 약간은 기대 이상이었다”며 “하나씩 긴장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단기 성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남북 간 신뢰를 쌓는 데 집중한다는 의지가 엿보였다.

이 대통령은 통일부 명칭 변경 논란과 관련해 “지금 통일을 얘기하는 건 자칫 흡수하겠다는 거냐, 굴복을 요구하는 거냐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며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며 흡수통일은 추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북한이 우려하는 흡수통일 의도가 없음을 밝히며 관계 개선의 진정성을 부각했다는 평가다.

 

한편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선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일본 언론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질문하자 이재명 대통령은 “우리 정부로서도 협력할 게 있으면 협력하는 게 맞겠죠. 그런데 우리가 뭘 협력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표했다. 한국인 납북자나 억류자 문제에는 언급을 삼갔고 북한 내 인권 실상에 대해서도 구체적 비판 대신 “우리 대한민국 국내 인권 문제도 잘 해결해야 하겠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대중들의 삶을 개선하는 인도적 지원이 북한 인권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회권 중심의 접근을 시사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대해 “정치적 지지도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대화와 협력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남북관계 회복 과정에서 단기 성과에 집착하면 오히려 상황이 경색될 수 있다는 경계도 뒤따랐다.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정치권 안팎에선 남북관계의 긴장 완화 및 인권 문제 접근 방식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향후 남북 간 대화의 끈을 이어가면서 정상회담, 실무접촉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남북관계#북한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