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서 동맹 업그레이드 합의”…이재명-트럼프, 첫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
한미 양국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정상회담 일정 조율에 공식 착수했다. 외교 소식통과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정상회담에서 양국 동맹을 미래지향적 포괄적 동맹으로 격상하는 데 공감했다고 전하며, 시기와 의제 조율이 본격화됐음을 시사했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한 조현 외교부 장관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 직후 특파원단과 간담회를 갖고 “한미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고 보도됐다”며 “날짜를 조율 중이고, 의제도 실무선에서 충실히 만들어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타결된 한미 무역 협상을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주 내’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한 이후, 일정 논의가 본격화된 셈이다.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담 날짜가 논의되고 있으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2주 안팎의 시점도 아직 단정하기 어렵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2주 이내로 언급한 바 있다.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한미동맹을 미래지향적 포괄적 동맹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에 상호 의견일치를 봤다”고 설명했다. 이는 한국과 미국이 기존의 안보동맹을 넘어 경제, 글로벌 현안까지 함께 논의하는 수준으로 관계를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읽히는 대목이다.
이날 조현 장관과 루비오 장관은 한미 외교장관 간 첫 대면 회담에서 한미 무역협상 진전에 더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미일 3자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조 장관은 “양 장관이 한미동맹을 중심에 두고, 한반도 긴장 완화와 효율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국 측은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 의제를 강조했으나,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구체적인 대책 논의는 한국 내 여건상 어려웠다”며 한미 간 이견이 불거지진 않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루비오 장관은 세계 정세 속 미국의 역할과 한미 협력 방향을 명확히 밝혔다고 전해졌다. 조현 장관은 “이번 방미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외교 철학과 한미협력 중시 기조를 미국에 전했다”며, “한반도와 동북아의 긴장 완화 및 다각적 외교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외교가 안팎에선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양국 경제·안보 협력의 새 전기가 되리란 전망과 함께, 한미일 협력 등 대외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정상회담 일정 확정과 세부 의제 조율을 이어가면서, 동맹 업그레이드 구상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