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청정수소, 국산화 가속 이끈다”…과기정통부, R&D 연합 본격 가동

강태호 기자
입력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와 사업화가 국내 산업혁신의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청정수소 연구개발(R&D) 혁신 연합’은 23일 첫 총괄위원회에서 산·학·연·관 93개 기업·기관의 협력체계를 출범시켜, 2030년까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율 100%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업계에선 이번 합의가 글로벌 수소기술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청정수소R&D혁신연합은 과기정통부, 67개 수요기업, 10개 연구기관, 16개 대학 등으로 구성돼, 수전해 핵심 부품·소재와 같은 5대 분야 기술 고도화와 대용량 실증을 중점 추진한다. 연구실의 원천기술이 산업 현장 적용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기존 R&D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요기업 맞춤형 공동 개발에 무게를 뒀다. 특히, 정부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중점연구실에 1190억원을 집중 투입해, 대규모 실증과 상용화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청정수소 생산기술은 물 분해 등에서 발생하는 순수 수소 생산(수전해), 탄소 포집(CCUS) 등 여러 공정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현재 국내 기술력은 미국, 유럽 등 선도국에 비해 대용량화와 신뢰성 측면에서 후발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혁신연합은 수요기업의 실시장 데이터와 연구기관의 기술력을 접목해, 기술 실증 및 검증 시스템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실증평가 체계 구축과, 연구개발 전 단계에서 기업 협력 과제가 내년부터 본격화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수소 생산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가속되고 있다. 일본·유럽은 대형 수소 플랜트와 연계한 실증 사례가 다수 축적됐으며, 미국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강력한 지원 정책으로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다. 반면 국내에선 기술 상용화 진입장벽, 실증 기반 부족이 한계로 꼽혀왔다. 업계는 정부의 대규모 R&D 투자 및 민간-공공 협력구조가 국제적 기술 격차를 좁힐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정부 주도의 청정수소 인증, 실증지원, 데이터 기반의 평가체계 안착이 관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수전해·연료전지 분야의 핵심소재 국산화와 관련 부품의 신뢰성 검증 등이 산업계의 요청 사항이다. 과기정통부는 명실상부한 청정수소 R&D 협업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민간의 기술개발 참여와 시장 중심 실증을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전문가들은 “청정수소 생산기술의 상용화가 향후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서 국가 경쟁력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 추진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청정수소r&d혁신연합#국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