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한반도특사 지정 필요성 강조”…정동영 장관, 우고 아스투토 대사 면담서 대화 촉구
남북 간 신뢰 회복을 둘러싼 논의와 국제사회 협력의 필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되고 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우고 아스투토 주한 유럽연합(EU) 대사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주앉았다. 정 장관은 EU 차원의 한반도특사 지정을 공식 요청하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국제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면담에서 정동영 장관은 정부의 평화 정책 구상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한반도를 평화적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EU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협조와 지지가 절실하다는 점을 재차 언급했다. 정 장관은 “EU 차원의 한반도특사 지정이 신뢰 회복과 평화 환경 조성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우고 아스투토 대사는 “EU도 한반도 평화를 위해 계속 소통,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통일부는 양측이 한반도의 평화 진전을 위해 앞으로도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같은 날 오후,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관계자들과 별도 면담을 갖고, 다시 한 번 ‘EU 한반도특사’ 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특사를 두고 있는 국가는 중국과 스웨덴뿐”이라며 “EU 차원에서 한반도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주는 것이 지역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토퍼 호이저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장은 앞서 2일부터 4일까지, 스웨덴 싱크탱크인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와 함께 ‘한국의 주도적 이니셔티브를 위한 국제사회 지원 방안’을 주제로 한 국제 전문가 회의를 열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앞으로도 한국 통일부와 평화로운 한반도를 위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날 면담에는 피터 셈네비 스웨덴 한반도특사, 백학순 김대중학술원 원장, 댄 스미스 전 SIPRI 소장, 페이 수 SIPRI 연구원 등도 함께 자리했다.
정치권은 통일부의 적극적 행보에 주목하면서, EU와의 협력을 통한 한반도 평화 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향후 EU와의 후속 협의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