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 전략 삼각형 명확”…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한일필리핀 협력 강조

조수빈 기자
입력

정치적 협력 구도가 동아시아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 제이비어 브런슨이 한일필리핀 3국 삼각 협력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각하고, 주한미군 주둔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미국을 포함한 동맹 네트워크 재구성 논의에 불이 붙었다.

 

브런슨 사령관은 17일 주한미군사령부 홈페이지에 게시한 해설문에서 “동아시아 지도를 위아래로 뒤집어보면 한국, 일본, 필리핀을 연결하는 전략적 삼각형 구조가 뚜렷이 드러난다”며 “세 나라가 각자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맺은 파트너로서 집단적 잠재력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그는 삼각 협력이 “전통적인 양자 동맹 구조를 넘어, 다자간 협력 논의에 유용한 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삼각 협력’은 기존 양자 동맹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며, “세 나라는 단일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전략적 중심축’ 역할을, 일본이 기술·해양력, 필리핀이 남쪽 해양축 접근성을 맡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새로운 동맹 창설이 아니라, 지리적 현실에 기반한 실용적 협력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의 이 같은 언급은 북한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까지 겨냥한 역내 안보 구상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그는 “한일필리핀 협력은 신뢰성 높은 연합 억제력을 제공하고, 한반도에서 비롯된 동맹 기본 임무를 보다 공고히 한다”고 설명했다. 미군의 억제력 실체도 부각했다. “주한미군이 주둔한 캠프 험프리스는 평양 158마일, 베이징 612마일, 블라디보스토크 500마일에 위치하고 있다”며, “베이징에서도 오산공군기지를 먼 위협이 아닌 가까운 위협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반도는 외곽 거점이 아니라, 관점을 바꾸면 접근성과 영향력을 갖춘 전략적 피벗”이라며 “여기에 배치된 연합 전력은 동북아 안정의 핵심 기반이며, 가장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억제력”이라고 덧붙였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재명 정부 임기 내 목표로 추진 중인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대해 “조건기반 전작권 전환 절차에서 연합사 지휘 체계는 변동될 수 있으나 동맹의 기본 구조와 방위 토대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그는 “전작권 전환 과정이 역내 안정, 북한 위협 억제, 한미 연합방위 능력의 연계를 강화한다”고 말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브런슨 사령관의 ‘삼각 협력’론이 아태 지역 안보 위협 복합화, 한미일 군사협력 가속화 등 최근 안보환경 변화와 직결된다는 해석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한일관계, 일본-필리핀 내 여론 등 넘어야 할 장애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다자 네트워크가 동맹 신뢰를 높일 수 있으나, 역내 국가 간 이해관계와 민감성도 함께 조율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정부는 미한일 협력 및 역내 안전보장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향후 주한미군 전력운영 및 전작권 전환 논의가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3자·4자 협력 틀이 안보정책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브런슨#주한미군#한일필리핀삼각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