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르지 않아”…중국 7월 소비자·생산자 지표 부진, 디플레 압력 지속
현지 시각 9일, 중국(China) 국가통계국은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내수 부진과 과도한 가격 경쟁의 여파로 물가 하락 압력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위험이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수치는 시장 전망치보다 다소 높았으나, 경기 회복의 뚜렷한 조짐은 확인되지 않는 모양새다.
중국의 CPI는 올해 초 내수 촉진책과 춘제(설) 효과로 0.5% 상승했으나, 이후 2월 -0.7%로 급락했고 3월부터 5월까지는 0.1% 하락을 이어갔다. 6월에 소폭 반등(0.1% 상승)했으나, 7월 들어 다시 0%로 내려앉으며 소비심리 회복세가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같은 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3.6% 하락해, 6월(-3.6%)에 이어 34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이는 로이터 전망치(-3.3%)보다 낙폭이 크고 23개월 만에 최대 하락률이다.

중국 정부는 기업들의 ‘출혈 경쟁’이 성장동력에 부담을 줄 우려에 따라, 불공정 경쟁 관행을 억제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물가 안정화 정책의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소속 에릭 주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압력을 해소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추가 경기 부양책 추진 가능성을 언급했다.
전월 대비 7월 CPI는 0.4% 상승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서비스 및 공업용 소비재 가격 인상과 소비 촉진책의 일부 효과가 반영됐다”고 해석했다. 국가통계국 둥리쥐안 수석통계사도 이 같은 요인을 배경으로 들었다. 하지만 전문가들과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와 내수 위축이 중국 경제회복의 구조적 장애물로 지속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른다.
미국(USA)·중국 간 갈등,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며, 중국 내 투자자들도 물가 지표 둔화가 주식시장, 위안화 환율 등 전반에 미칠 충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도 “추가 부양책이 없으면 경기 반등은 더딜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8월 및 하반기 정책 추진 여부에 따라, 중국 경제 환경과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내수 위축이 장기화된다면 중국 경제 체질 변화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중국의 정책 대응과 물가 흐름 변화가 경기 회복의 분수령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