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네이버, 논란에 검색 즉각 수정
현지시각 기준 10월 30일, 한국(Korea)의 대표 인터넷 포털 네이버(Naver)에서 AI 검색 서비스가 ‘일본 영토’ 검색 시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이용자와 전문가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문제의 AI 요약문은 일본 정부의 자료를 인용해 생성된 것으로, 논란이 불거진 직후 네이버 측은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 재발 방지 조치에 나섰다. 이번 사안은 한일 간 오랜 영유권 갈등이 AI 시대에도 새로운 형태로 재점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건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10월 30일 오전 본인의 SNS를 통해 “네이버에서 ‘일본 영토’를 검색하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는 AI 요약 결과가 나온다”며 문제를 제기하면서 알려졌다. 해당 요약문에는 ‘독도(다케시마)’가 일본의 주요 영토로 포함되고,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부연 설명이 명시됐다.

‘AI 브리핑’은 네이버가 도입한 검색 결과 요약 서비스로, 통상 신뢰도 높은 문서 기반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일본 외무성, 주한일본대사관 등 일본 정부 자료에 기반해 독도 관련 일본 측 주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오전 8시경 네이버에서 ‘일본 영토’를 검색할 경우, 주한일본대사관 홈페이지의 내용이 AI 요약문에 인용됐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서경덕 교수는 “해외 누리꾼이 왜곡된 인식을 갖지 않도록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논란 확산 후 네이버는 같은 날 오전 8시 9분께 AI 브리핑을 삭제하고, 결과 생성 원칙 점검 및 서비스 개선을 약속했다. 네이버 측은 “질의 내용에 적합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피며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AI 자동 요약 논란은 한일 간 오랜 독도 문제에 인공지능 플랫폼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글로벌 플랫폼에서의 역사적·영토적 민감 사안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한다. 일본(Japan)은 과거부터 독도 영유권을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으며, 한국 역시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현지 언론과 외신도 관련 논란을 신속히 보도했다. CNN과 BBC는 “AI 서비스의 공정성과 중립성 확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AI가 접하는 데이터 소스의 편향성 문제와, 국경을 넘나드는 정보 플랫폼에서 역사 갈등의 확산 리스크를 방증한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영유권, 역사 왜곡과 같은 민감한 외교 현안이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등 기술 플랫폼을 통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와 네이버의 후속 조치가 AI 시대 정보관리의 전환점이 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