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진화한 오픈랜”…과기정통부, 서울역·김포공항 실증 추진
오픈랜(Open-RAN) 기술과 인공지능(AI)이 결합한 AI-RAN이 대규모 공공 인프라를 통해 실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서울역과 김포공항 등 교통 허브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오픈랜 기반 5G 특화망과 AI-RAN 실증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주요국 주도 하에 이동통신망 장비 시장이 개방형 오픈랜으로 전환되며, AI 연동이 6세대(6G) 지능형 네트워크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실증을 AI와 통신 융합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올해 실증사업 범위를 기존 5G 상용망에서 5G 특화망, AI-RAN 등 차세대 분야까지 대폭 확장했다. 특히 서울역에는 다수 제조사 무선장치를 조합한 '멀티벤더' 오픈랜 환경이 도입된다. LG전자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기반 기지국과 3개 무선 제조사 장비가 결합돼, 글로벌 첫 사례로 다양한 장비의 유연한 연동을 실증한다. 하루 1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서울역 특화망에서는 무선카메라를 통해 대용량 CC(폐쇄회로)TV 영상을 5G망을 거쳐 서버로 실시간 전송, AI가 실시간 혼잡도 분석과 인파 분산 안내를 제공한다. 이는 기존 폐쇄 통신 인프라가 가진 벤더 락인 한계를 극복하고, 데이터 대역폭·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여준다.

김포공항 실증망에서는 통신과 AI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AI-RAN 구조가 적용된다. 출입제한 구역 내 신원 확인, 보안 사각지대 침입 즉시 감지 등 항공보안 서비스에 AI 융합 오픈랜을 활용한다. AI 알고리즘이 네트워크 상태와 영상 품질을 실시간 최적화해, 5G 카메라에서 고품질 대용량 영상을 지연 없이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술도 검증된다. 기존 장비별 독립 운용과 달리, 서버와 기지국 장비가 AI 기반으로 통합 처리함으로써 운용 효율은 물론 비용·에너지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 등에서 오픈랜 표준화와 AI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대규모 인프라 사업 투입과 함께, 국내 제조사의 SW 기반 기지국 및 멀티벤더 연동 기술이 실사용 환경에서 본격 시험대에 오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오픈랜 장비 수출, 6G 지능형 네트워크 시장 선점 가능성에도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지국·서버·AI 기술간 융합은 6G의 차별화 포인트로 부상하며, 보안·실시간성 요구가 높은 공항·철도 등에서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데이터 관리와 네트워크 운영 표준화 이슈, 다중벤더 환경의 상호운용성 규정 등 정책적 과제 해결도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AI-RAN이 AI 시대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에 주목하며, 공공·민간 전 분야로 기술 확산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실증이 국내 기술이 글로벌 AI-RAN 경쟁에서 주도적 위치에 설 수 있을지, 실제 시장 안착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