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륙도 추가 배송비 이달 말 폐지”…쿠팡 박대준 대표, 농어민 수수료·정산 주기 개선 약속
농수산물 유통 구조를 둘러싼 정치권과 국내 최대 온라인 유통기업인 쿠팡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연륙도서 추가 배송비 문제와 함께 농어민 수수료 및 정산 주기 개선 요구가 겹치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 현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쿠팡이 시스템개편과 정책수정 계획을 분명히 밝히면서, 업계 및 농어민에게 전방위적 파장이 예상된다.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박대준 쿠팡 대표는,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연륙도서의 우편번호가 인근 섬과 같아 도서·산간 지역으로 자동 분류되면서 부과됐던 추가 배송비 문제를 시스템 개편으로 해소할 것”이라며 “이달 말 개발 완료 후 11월 초부터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에 쿠팡을 포함한 13개 쇼핑몰이 연륙도서에 추가 배송비를 부과해 온 사실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된 바 있으며, 이들 중 쿠팡을 제외한 12곳은 이미 이를 철회했다.

수수료와 정산 주기도 쟁점이었다. 서삼석 의원은 “쿠팡은 농축수산식품에 10.6%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총판매 금액의 70%는 15일 뒤, 나머지 30%는 2달 뒤에 지급해 영세 농어민의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한 네이버 등 타플랫폼이 3%의 수수료와 사흘 이내 정산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과 비교하며 시급한 개선을 요구했다.
박 대표는 “수수료는 상품 가격과 연관돼 즉답이 어렵다”고 한편, “중개 거래 상품의 경우 구매 확정 다음 날 정산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도 이미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서 의원이 재차 개선 의지를 묻자 “수수료와 정산주기 모두 계속 개선 방안을 찾겠다”며 “정산주기는 더욱 단축하고자 금융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 이어 “타사 수준의 효과로 농어민 부담이 덜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통업계에서는 쿠팡의 추가 배송비 폐지와 정산주기 단축 방침이 현실화될 경우 농어민 소득 안정성 제고는 물론, 온라인 농수산물 시장의 경쟁구도가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농해수위와 관련 부처는 쿠팡 등 유통업체의 실제 이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이날 국회 농해수위에서는 유통구조 불공정성 개선을 위한 열띤 공방이 이어진 가운데, 정치권과 기업 간 합리적 조정이 새로운 정책 과제로 급부상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