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긴축 곧 종료 가능성”…파월 연준 의장, 유동성 정책 변화 예고
현지시각 14일, 미국(USA)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몇 달 안에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 종료 시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번 발언은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정책의 조기 종료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직접적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추진된 대규모 자산 매입에서 벗어나 최근 몇 년간 지속해온 유동성 회수 정책에 변화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파월 의장은 “충분한 준비금 조건과 일치한다고 보는 수준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 도달했을 때, 대차대조표 축소를 멈출 계획임을 오래전부터 밝혀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시점이 앞으로 몇 달 안에 다가올 수 있을 것”이라며 연준이 관련 지표들을 면밀하게 모니터링 중임을 덧붙였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국채와 모기지채권 등 자산 규모를 단계적으로 줄여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으로, 통화 공급을 늘렸던 과거 양적완화(QE)와 정반대 개념이다. 연준은 2022년 6월, 팬데믹 이후 급증한 보유자산을 줄이기 위해 QT에 나섰으나, 이 과정에서 금융시장에는 작지 않은 파장이 반복돼 왔다.

실제로 지난 2018~2019년 양적긴축이 가속될 당시 미국 증시 변동성이 커졌고 투자자산 수익률도 압박을 받은 전례가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연준은 이번 정책 변화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 중이며, 시장 역시 종료 시점과 속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발언 이후 월가 및 글로벌 투자자들은 연준의 추가 발표와 준비금 수준 변동에 대한 관심을 더 높이고 있다. 경제매체 CNBC는 “연준의 자산 축소 조기 종료 신호는 채권·주식 등 자산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역시 “파월 의장의 코멘트가 금융시장에 정책 전환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향후 연준은 다양한 경제·금융지표를 모니터링하며, 미국 경제와 글로벌 시장의 안정적 흐름을 고려해 준비금 수준이 적정 범위에 도달하는 시점을 최종적으로 판단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이번 입장이 장기금리, 달러화, 글로벌 자본 흐름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연준의 상세 발표와 준비금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다.
이번 정책 조치가 국제 금융시장과 경제 질서에 어떤 변화를 예고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