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최소침습 임펠라 첫 도입”…분당서울대, 심장 기능 회복 새 전기

허예린 기자
입력

초소형 기계식 순환장치 ‘임펠라(Impella CP)’가 심장 기능 급격 저하 환자 치료에 새 해법을 제시하며, 국내 중증 심장질환 의료 현장에 도입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심장혈관중재시술팀(순환기내과 채인호 교수)은 지난 17일 임펠라 시술을 국내 최초로 시행해, 그 실효성과 확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도입을 ‘중증 심장질환 치료 패러다임’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심장성 쇼크 등으로 좌심실 펌프 기능이 크게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펠라는 좌심실 내에 삽입돼 심장 근육을 대신해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낸다. 이는 기존 약물치료나 대동맥 내 풍선펌프에 비해 혈류 유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대퇴동맥을 통한 최소 침습적 시술 방식을 채택, 환자 부담과 출혈·감염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춘 점이 핵심 차별점이다. 시술 후 환자의 심장 기능 회복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안정 시 임펠라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도 의료진의 정확한 상황 대응을 뒷받침한다.

기존 대동맥 내 펌프, 심장성 쇼크 환자 대상 약물 요법은 한계가 명확했고, 체외막산소공급장치(ECMO)는 합병증 위험이 높고 관리 부담이 컸다. 이와 달리 임펠라는 좌심실 기능 저하 만을 직접 보조해 생존율 향상과 재활 효율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급성 심장기능 부전, 고위험 관상동맥 중재시술 등 특수상황에서 효용성이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200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이후 심장성 쇼크 치료법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및 희소의료기기 지정으로 보건의료 현장의 적용이 본격화되는 추세다.

 

채인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임펠라는 최소 침습으로 심장에 직접 펌프 기능을 보조, 환자의 급성 악화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혁신 치료”라며 “향후 중증 심장질환 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적극 도입과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의료계는 임펠라와 같은 초소형 순환장치가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적용 범위를 넓혀갈지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최신 치료기술과 제도, 의료 윤리의 균형 속에서 혁신이 정착할 지 여부를 계속 지켜보는 분위기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분당서울대병원#임펠라#심장성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