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서울서 6G 글로벌 리더십 논의”…모바일코리아 2025, 미래 통신 판도 바꾼다

김소연 기자
입력

6G·AI 융합이 통신 산업의 판도를 바꿔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서울 LG사이언스파크에서 개최하는 ‘모바일코리아 2025’ 행사는 한국이 미래 통신 기술 논의의 중심 무대임을 보여준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16개국 60개 기관이 모여 차세대 네트워크 협력과 국제 공동 연구 본격화를 선언한다. 업계는 이 회의를 '글로벌 6G 주도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모바일코리아 2025’의 최대 의제는 6G 비전과 표준, AI와의 네트워크 융합이다. 삼성전자, LG전자, 퀄컴, 에릭슨, 노키아 등 세계 주요 통신장비기업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 3사가 현장에서 6G 시대 준비 전략을 공유한다. 첫날에는 LG유플러스의 최고기술책임자 이상엽 6G포럼 의장이 개막사를 한다. 이어 6G포럼(한국)과 6G-IA(EU)의 협력 MOU 체결 등 글로벌 공조도 이뤄진다.

기술 세션에서는 GSMA, 삼성전자, 화웨이, 노키아 등 업계 리더들이 6G 핵심 기술과 전략, 위성통신·AI-RAN(지능형 무선망)·자율형 네트워크 등 진화된 구조를 논의한다. AI-RAN은 인공지능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커버리지를 높이는 방식으로, 기존 네트워크 대비 자율성과 성능에서 두 배 이상의 혁신이 기대되는 분야다. 올해 행사에는 산업계뿐 아니라 학계, 연구기관도 처음 대거 참여해 6G 상용화 관점의 논의 폭을 넓혔다.

 

5G 고도화와 6G 향 AI 융합 전략도 큰 주제다. ‘5G 버티컬 서밋’에서 네이버랩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싱가포르 공과디자인대학교, KT 등이 AI-RAN 및 하이퍼 AI 네트워크, 파운데이션 AI 등 미래 지향적 통신 플랫폼의 청사진을 발표한다. 이어 국내외 스타트업 발표와 글로벌 시험·계측장비 기업의 시연으로 실제 시장 적용성을 가늠한다.

 

위성통신 표준화와 6G 위성 R&D도 주목된다. 30일 위성통신포럼에서는 과기정통부, 유럽우주국, 일본 JSAT, 대만 산업기술연구원 등이 6G 위성 네트워크 정책·표준·기술 동향을 공유한다. KT SAT, 아주대, Skylo 등이 참여하는 위성 통신 기술 세션에서는 전 세계 위성 기반 커버리지 확보, 초저지연 통신, 우주-지상 간 연동 가능성 등 6G 기반의 비지상 통신 생태계가 집중적으로 조명된다.

 

글로벌 차원의 6G 협력 필요성도 부각된다. ‘리저널 워크숍’에는 삼성리서치, TTA, SK텔레콤 등 국내외 연구기관과 헝가리, 튀르키예, 태국, 싱가포르, 인도, 필리핀 등 각국 정부·사업자가 참여, 최근 추진 중인 AI·네트워크 융합 기술의 추이와 공동 연구 아젠다를 교환한다.

 

세계 각국은 6G 표준 주도권 선점을 위해 연구개발 및 정책적 투자를 크게 확대하는 추세다. EU, 미국, 일본, 중국 등은 모두 자국 중심의 6G 포럼 및 얼라이언스를 운영 중이며, 6G 주파수·기술·표준화 이슈에서 각축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은 산·학·연이 참여하는 6G포럼을 기반으로 표준 논의와 R&D,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한편,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국제 협력 체계를 넓혀가고 있다.

 

6G는 기존 5G보다 최대 50배 빠른 전송속도(최고 1Tbps), 1㎳ 이하 초저지연, 인공지능-사물인터넷-위성통신 삼위일체 실현 등 첨단 ICT 융합의 ‘종합 인프라’로 진화 중이다. 국내 6G 상용화 목표 시점은 2028~2030년으로, 주파수 정책 조기 확정과 글로벌 표준화, 장비·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한국 정부는 규제 개선, 글로벌 R&D 컨소시엄, 표준특허 및 AI·위성통신 연계 지원 등 전방위적 정책 패키지로 6G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6G 시대는 국민 삶과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될 것”이라며, “산·학·연 협업 기반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행사가 한국이 6G 글로벌 시장에서 실질적 생태계 주도권을 쥘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모바일코리아2025#6g#과기정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