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국제안보 이끈 한국”…이재명 대통령, 유엔 안보리 의장국 활동 마무리
국제안보 무대에서 한국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한국 정부는 9월 한 달, 글로벌 안보 이슈 해결을 둘러싼 행보를 적극 전개했다. 한국이 이끄는 '다자외교 리더십'이 다시금 부각됐다는 평가다.
1일 외교부는 한국이 임기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올해 9월 유엔 안보리 의장국 활동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은 2024~2025년 임기 비상임 이사국으로 참여 중이며, 이번 의장직 수임은 지난해 6월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9월에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가 잇따라 열리면서, 국제사회 핵심 외교무대에서 한국이 안보리를 주도하는 역할을 강화했다는 분석이다.

가장 큰 주목을 끈 장면은 지난달 24일 이재명 대통령이 현직 한국 대통령 최초로 유엔 안보리 회의를 직접 주재한 점이다. 외교부는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과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린 공개토의에 대해 "AI 시대 국제안보환경 아래 안보리의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한국이 미래 전략 이슈까지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조현 외교부 장관은 중동 및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한 안보리 고위급 공식회의를 주재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 최대 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의 책임 있는 역할과 기여 의지를 잘 보여줬다"고 부연했다.
법적·제도적 성과도 뒤따랐다. 정부는 이번 의장국 활동 기간 동안 수단 제재 연장, 이라크·쿠웨이트 실종자 문제 후속 메커니즘, 아이티 다국적안보지원임무단의 갱단진압군 전환 승인 등 주요 3건의 안보리 결의 채택을 주도했다. 해당 사안 모두 분쟁 해결과 국제 평화 수호라는 안보리의 본래 임무에 직접 연결되는 현안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의장국 활동이 한국 외교의 브랜드가치를 높였다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외교부는 "정상과 외교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국제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주도함으로써 다자외교 리더십을 한층 더 제고했다"고 자평했다.
이로써 한국은 국제안보 질서의 한가운데서 다자외교 중심 국가로 한 단계 도약했다는 해석이 힘을 얻는다. 정부는 향후에도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글로벌 평화와 안보 수호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