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평화 정착은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재명, 김여정 담화에 냉정 대응
정치

“평화 정착은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재명, 김여정 담화에 냉정 대응

장서준 기자
입력

남북 간 대화의 물꼬를 트려는 이재명 대통령의 유화적 메시지에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강경한 담화로 공개 반발하면서, 한반도 정세가 다시 긴장감으로 휩싸였다. 대통령실은 28일 김여정 부부장의 공개 발언에도 불구하고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며 한반도 안정 의지를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북 고위 당국자의 첫 대남 대화를 통해 표명된 북측 입장에 대해 유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몇 년간의 적대, 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날 ‘조한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말했다. 또 이재명 정부의 확성기방송 중단, 전단살포 중지, 개별관광 허용 등 유화 제스처에 대해서도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들을 가역적으로 되돌려 세운 데 불과한 것”이라며 평가절하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을 겨냥해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 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도 비판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북한의 강경 기조가 이어진다는 점에서 남북관계가 쉽게 해빙 국면으로 전환되긴 어렵다는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정부가 일관된 대북 평화노선을 천명한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대화의 여지가 열려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북한이 공식적으로 대북정책 방향을 평가한 만큼, 향후 남북관계의 흐름과 추가적 북한의 메시지에 정치권과 외교안보 당국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국가안보를 최우선에 두면서도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김여정#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