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 C2C 리더십 교체”…네이버, 포시마크 CEO에 김남선 선임
북미 최대 패션 중고거래(C2C) 플랫폼으로 꼽히는 포시마크가 최고경영자(CEO) 교체를 단행하며 글로벌 시장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11일(현지 시간) 김남선 전략투자부문 대표가 오는 10월1일자로 포시마크의 새 CEO로 공식 선임된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사가 네이버의 북미 C2C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중고거래 플랫폼 시장 내 리더십 교체의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포시마크는 2011년 창업 이후 '모바일 쇼핑, 커뮤니티 결합'이라는 사업 모델로 빠르게 성장했다. 네이버는 2023년 1월 약 1조6000억원을 투자해 포시마크를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글로벌 C2C 플랫폼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김남선 대표는 지난 4월부터 포시마크 이사회 집행 의장을 맡아 효율화와 혁신적 사업 전략 수립을 주도해 왔다.

이번 CEO 선임에 대해 포시마크는 “김 대표가 회사의 추가 성장과 전략 방향에 적합한 인물임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CEO였던 마니시 샨드라 창업자는 물러나지만, 이사회 구성원으로 남아 지속적으로 경영 컨설팅을 담당한다.
김 대표 체제의 가장 큰 변화는 네이버의 IT 플랫폼 경험과 전략적 자원이 본격적으로 포시마크 운영 전반에 이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그간 북미 C2C 중고거래 시장은 포시마크·이베이·디팝 등 글로벌 기업 경쟁이 치열했다. 빅테크 기업 및 주요 벤처기업들 또한 AI 추천, 검색·큐레이션, 커뮤니티 확장 전략 등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네이버는 ‘한국형 IT 서비스 경험’과 플랫폼 내 커머스·AI 기술 노하우를 접목, 현지화 전략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C2C 거래 문화 혁신과 커뮤니티 중심 신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 주요 플랫폼은 중고 명품 리셀, P2P 결제, AI 진단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확대 중이며, 데이터·결제·배송 등 양질의 사용 경험이 승패를 가른다. 네이버는 포시마크를 인수한 이후 IT 역량 강화, 글로벌 브랜드 확대 및 신기술 결합에 적극 나서 왔다.
한편, 빅테크 자회사의 글로벌 경영진 교체는 북미 IT기업 규제 환경과도 맞물린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IT 플랫폼 규제, 개인정보 보호, 현지 자회사 경영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다. 포시마크는 네이버-미국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각국의 디지털규제 프레임 내에서 사업 혁신을 이어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포시마크의 이번 CEO 전환이 북미 IT·커머스 산업에서 한-미 양국 간 테크 경쟁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IT업계에서는 “글로벌 C2C 시장에서 네이버의 사업 시너지가 실제 이용자 기반 확대와 수익성 증대로 연결될지 주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