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세계기록유산 실록·의궤 수장고 방문, 기록 누락”…김건희, 국가유산 관리 논란 격화

조현우 기자
입력

국가유산의 관리 책임과 사적 이용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대통령실 김건희 여사가 2023년 3월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를 방문했지만, 출입 기록이 남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박물관 측의 출입 관리 규정이 무시된 정황이 확인되면서 정치권과 문화계 안팎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가유산청이 27일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는 2023년 3월 2일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를 약 10분간 둘러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날 방문 사실은 수장고 출입 일지 어디에도 기록돼 있지 않았다. 이날 박물관 담당자들은 ‘유물 정리’ 등 업무 사유로 수장고에 출입했다고 명부에 적었으나, 김 여사의 이름은 누락됐다.

특히 김건희 여사가 방문한 제2 수장고에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과 보물이자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의궤’ 등 약 2천100점의 귀중한 기록물이 보관돼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품 관리 규정’에는 수장고 출입 시 2인 이상 동행 및 출입자 기록 의무가 명시돼 있는데, 기록 누락은 명백한 규정 위반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물관 측은 당시 수장고가 본관 인근에 위치해 내부 직원들이 유물 정리 작업을 하고 있었다며, “당일 수장고 담당자 동행하에 (김건희 여사의) 출입이 이뤄졌으나 기록이 누락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왜 기록이 남지 않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내놓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임오경 의원은 “제보에 따르면 김건희 씨가 조선왕조의궤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며, 방문 기록 누락이 ‘고의적’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임 의원은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는 공간에서 중요 국가유산을 개인적으로 열람한 것은 명백한 직권남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물관 내부 관계자들 역시 절차 위반 문제를 지적했다. 한 관계자는 “어떤 사유로 들어갔든 출입 기록을 남기는 게 원칙”이라며, “명백한 규정 위반”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수장고는 박물관 내에서도 가장 규정이 엄격히 적용되는 공간”이라며 “관리 기록이 누락됐다는 것은 쉽게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국가유산의 사적 이용과 관리 부실 논란이 점차 증폭되는 양상이다. 여야 간 공방도 예상되고 있으며, 관련 진상조사와 국정감사 요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향후 정치권과 문화계는 국가유산 관리 실태와 사적 이용 논란을 중심으로 논의와 제도 개선 요구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국립고궁박물관#임오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