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국 핵잠수함 도입 전방위 지원”…헤그세스 미 국방장관, 한미 동맹 협력 강화 시사

배진호 기자
입력

한미 양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계기로 동맹 협력의 폭을 한층 넓히고 있다.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를 계기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이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을 전면 지원할 뜻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언급까지 나오면서 한미 안보 파트너십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 핵잠수함 도입 관련 질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당연히 군 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유관기관인 국무부, 에너지부와도 긴밀하게 협조할 것"이라며 미국 행정부 전반의 협력 의지를 밝혔다. 헤그세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동맹의 능력이 제고되길 원한다"며 "대한민국이 모델과 같은 국가이기에 더욱 강력한 능력을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승인 과정에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양국이 선의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논의해 결국 긍정적 결과로 이끌 것이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 조선업의 세계적 경쟁력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조선업에서 세계적 수준의 능력을 갖고 있다"며 "미국 정부는 잠수함뿐 아니라 수상함, 전투함 등 다양한 분야 협력을 강화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또한 주한미군의 역내 투입 관련 질문에는 "동맹을 통해 한반도의 안정을 지킬 의지가 명확하다"고 밝혔으며, "북한 위협에 대응해 대한민국에 위해가 없도록 지속적으로 확장 억제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역내 비상사태 대응 유연성 필요"를 강조하며 "결론적으로 대북 재래식 방어는 한국이 주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미국 측의 적극적 지원 발표와 한미 간 첨예한 군사·기술 협력이 동북아 안보 환경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방위비 지출 증가에 대해서도 헤그세스 장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군사능력 투자 강화에 고무돼 있다"며 "미국 군함 수리·유지, 지상장비 협력, 국방 연구·과학기술 등 협조도 확대하기로 했다"고 환영 의사를 밝혔다.

 

향후 대북 위협에 대비한 한국의 군 주도권 강화와 한미간 방산 협력 심화가 양국 동맹의 새로운 과제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후 한국 핵잠수함 도입 등 국방 현대화 추진 과정에서 미국 측과 계속 긴밀히 협의할 계획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헤그세스미국방장관#안규백국방부장관#한국핵잠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