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혁신은 인적 쇄신부터”…안철수, 김문수 자진 거취 촉구하며 당내 혼란 책임론 강조
극심한 당내 분열과 책임 공방이 가열되는 가운데, 국민의힘 대표 선거에 출마한 안철수 의원이 김문수 후보를 향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혁신을 강조한 안철수 의원의 기자회견 발언이 당내 혼란을 둘러싼 공방을 재점화했다.
안철수 의원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단일화 번복으로 당내 극심한 분열과 혼란을 초래하고 이재명에게 대통령직을 헌납한 김문수 후보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혁신 당 대표가 되겠다. 메스 대신 칼을 들고 직접 우리 국민의힘을 새롭게 태어나게 하겠다"며 강도 높은 쇄신 의지를 밝혔다.

주요 혁신안으로 안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의 단절, 극단 세력과의 단절을 당 혁신의 2대 원칙으로 제시했다. 이를 뒷받침할 실천 방안으로 인적쇄신과 당헌당규 개정, 원외당협 강화, 인재 영입 강화, 실질적인 당내 청년당 창당 등 다섯 가지 과제를 내세웠다.
특히 안 의원은 인적 쇄신과 관련해 “당무감사로 지목된 두 분과 스스로 조사를 자청한 한 분도 윤리위원회 처분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당무감사위원회는 지난 대선 당시 ‘후보 교체 시도’ 논란에 연루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 이양수 전 대통령선거관리위원장에 대해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윤리위원회에 청구했으며, 권성동 의원도 “저 역시 징계에 회부하라”며 맞섰다.
안 의원은 외부 전문가 중심의 백서편찬위원회 발족도 예고했다. 계엄, 탄핵, 대선 과정의 논란을 백서로 남기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또, 당헌·당규 개정안을 통해 당 대표 선출 예비 경선을 100% 국민 여론조사로 하고, 현재 ‘당원 8 국민 2’인 4인 경선 규정은 ‘5대 5’로 바꾸겠다고 했다. 최고위원은 부대표로, 최고위원회의는 당 대표단 회의로 명칭 변경 의사도 드러냈다.
이날 회견 후 안철수 의원은 대선 백서 완성 시기와 관련 “대선 백서는 길어도 3주, 짧으면 2주 만에 완성될 수 있다”며, 외부 작성 백서를 바탕으로 적절한 당의 조처를 하겠다고 말했다.
혁신 후보 단일화 제안에 대해선 “혁신 목소리를 내는 여러 사람이 후보로 등록하면 더욱 혁신에 도움이 된다”며 “결선투표가 있으면 자연스럽게 후보 단일화가 유권자에 의해 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특검 수사 대응 방안으로는 “170일이라는 특검 수사 기간 연장 방지가 1차 목표”라며, 정치 탄압으로 비치는 수사에 대해선 “제가 당 대표가 되면 일치단결해 반드시 막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국민의힘은 대선 과정과 후보 교체 논란에 대해 책임 있는 인적 쇄신과 제도 개혁의 목소리가 맞붙었다. 정치권은 당내 갈등 해소와 조기 수습이 이루어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혁신안 관련 연내 당헌·당규 개정 논의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