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연대·자주국방 강화해야”…김민석 총리, 재향군인의 날 기념식서 한반도 평화 재확인
국가안보 강화와 보훈 정책 개편을 두고 정부와 정치권, 보훈 단체가 맞붙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24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제73주년 재향군인의 날 기념식에서 국제사회와의 연대·자주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도모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최근 지정학적 갈등과 각종 위협이 고조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의 안보 기조와 보훈 체계 방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축사에서 “정부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원칙 아래 세대를 아우르는 보훈 체계 구축에 힘쓰겠다”며 “국가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훈 의료 접근성을 높여 국가유공자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어려운 형편에 놓인 국가유공자 유족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병역의무를 다한 청년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제대 군인 권익 보호, 구제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뜻을 재확인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여야 국회의원, 전국 읍·면·동회 이상 임직원, 해외 12개국 22개 지회장, 6·25전쟁 및 월남전 참전용사 등 5천여 명이 자리했다. 최근 보훈 정책 강화 기류를 반영해, 정치권도 행사장에 참석해 국가 유공자에 대한 보상 및 존중 필요성에 적극 공감했다.
신상태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은 기념사에서 “향군은 최근 몇 년간 고강도 혁신과 경영개선을 통해 재정 안정화 토대를 마련했다”며 “호국정신 계승과 안보 공감대 확산에 집중하는 동시에 회원 삶을 두텁게 보살피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향군이 되겠다”고 말했다. 국내 최대 보훈단체인 재향군인회는 1952년 임시수도 부산에서 창설돼, 약 1천1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정치권과 정부, 재향군인회가 보훈 혁신과 안보 강화에 한목소리를 내면서, 향후 국가 보훈 정책 방향 및 청년 병역 보상 체계 개선 논의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정부는 국가유공자 지원 확대와 자주국방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