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컷오프 개혁론에 호남 격랑”…정청래·박찬대, 민주당 당대표 경선룰 놓고 각축
컷오프 개혁 방식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정청래, 박찬대와 호남지역 정치권이 격돌했다. 컷오프 여부보다 경선룰 개정 논의에 목소리가 집중되고 있지만, 두 후보 모두 경선 규칙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서 지역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28일 광주와 전남 정치권에 따르면 정청래 후보는 '노컷 당 대표'를 내세우며 범죄 경력자 등 무자격자는 후보 검증을 통해 선별하되, 그 외 후보 전원에게 경선 기회를 보장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그는 “억울한 공천 탈락 피해를 막겠다”며 본선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시절 선출된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탈락 위험이 다소 줄어든다는 기대감에 환영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반면 박찬대 후보는 당 기여도·충성도 등 당원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컷오프 혁신을 내세웠다. 이에 더해 호남지역 지방선거에 선거공영제 시범 도입, 컷오프 통과자 전원 100% 경선 실시, 호남공천특별위원회 신설, 시도당 공천심사위 청년·여성 비율 확대 등 차별화된 공약을 발표했다. 이는 현역 및 기존 정치인들에 대한 물갈이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침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두 후보 모두 경선 본선룰 개편에는 입을 닫았다. 특히 호남에선 경선 과정에서 권리당원 비율을 줄이고, 일반 유권자 비중을 키워 조직선거 폐해를 줄여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과거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권리당원 반영을 지역별로 차등하겠다”고 언급한 점까지 재조명되면서 경선룰 논의는 민주당 내 최대 과제로 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대의원 15%, 권리당원 55%라는 압도적 당원 투표 비율 탓에 룰 개편 공약을 공개적으로 꺼내들긴 쉽지 않은 상황으로 풀이된다. 박찬대 후보 역시 광주 현지에서 “호남 권리당원이 많아 경선이 과열되고 일부는 금권선거로 번질 소지가 있다는 점을 안다”면서도, “비율 조정이 해답이 될지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정청래 후보의 노컷오프 공약이 민주당 권리당원 33%가 몰려 있는 호남 현직들에게 큰 파장을 예고했다는 평가가 힘을 얻고 있다. 오승용 메타보이스 이사는 “컷오프에서 대거 배제하지 않더라도, 이후 경선을 국민 배심원제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당원 지지가 절대적인 현행 구조에서 경선룰 개혁을 당장 꺼내기엔 부담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 같은 경선룰 논란은 당대표 선거 이후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민주당 당대표 경선을 둘러싼 컷오프 공약 논란과 경선룰 개편 요구를 놓고 본격적인 줄다리기에 돌입한 모양새다. 민주당은 향후 호남을 비롯한 권리당원표 결집과 경선제도 혁신 논의를 동시에 추진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