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국세청 해킹 시도 3만건”…윤영석, 올해만 6천500건 ‘최대치’ 경고
국세청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최근 5년간 3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사이버 보안의 심각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국민의힘 윤영석 의원은 24일 국세청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올해 들어서만 6천500건이 넘는 해킹 시도가 있었으며, 종래 연간 규모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정보 유출 등 민감한 공격이 절반에 육박하면서 보안 역량 강화 요구가 정치권에서 거세지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는 총 2만9천462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6천106건에서 2023년 3천53건까지 감소세를 보이다, 2024년 4천688건으로 다시 반등했다. 특히 2025년에는 8월까지 6천539건이 집계돼 최근 5년간 연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해킹 시도 유형별로는 전체의 40% 이상(1만2천534건)이 정보 유출을 겨냥했다. 이어 정보수집 6천70건, 시스템 권한 탈취 5천910건, 홈페이지 변조 1천826건, 비인가 접근 1천436건, 이른바 디도스 공격도 1천413건을 기록했다.
국내에서 발생한 해킹 시도는 1만3천414건이었으며, 국외는 1만6천48건으로 더 많았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3천459건으로 가장 많고, 중국 1천644건, 필리핀 863건, 러시아 661건, 베트남 618건 등이 뒤를 이었다. 여기에 기타 국가에서의 시도도 6천423건에 달했다.
윤영석 의원은 “사이버 공격이 안보와 민생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국세청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특히 올해 8월까지 최근 5년 중 최대 규모의 해킹 시도가 기록된 만큼 납세자 정보와 국가 재정 시스템을 지키기 위한 보안 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국세청 등 주요 국가 시스템의 보안 허점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해킹 시도가 증가하는 데 따른 정부와 관계 기관의 특단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국회는 국세청 사이버 보안 실태에 대한 점검과 대책 마련을 위해 추가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