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아이들 학습권 보장 시급”…시민단체, 대통령실 앞서 교육대책 촉구
이주 배경을 지닌 고려인 아이들의 학습권 보장을 두고 시민사회와 행정기관 간 대치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한국에서 성장하며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고려인 아동의 교육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10월 28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시민단체와 대안학교 학생들이 직접 참가해 현실을 호소하는 자리로 꾸며진다.
기자회견에는 안산의 이주민시민연대사회적협동조합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고려인 학생 5명이 참석한다. 이들은 저마다의 적응 경험과 교육상 겪는 어려움을 직접 발언할 예정이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사회 KCS’ 김종천 대표, 안산희망재단 이천환 이사장, 4·16교육연구소 구희현 이사장, 이주민시민연대사회적협동조합 최혁수 이사장 등 4개 단체 대표가 기자회견문을 낭독한다. 회견문에는 고려인 아이들의 학습권 보장과 안정적 정착을 위한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 요구가 담길 전망이다.

이주민시민연대사회적협동조합 최혁수 이사장은 “국내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아이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해도 한국어는 중학교 2학년 수준이고, 러시아글은 읽지도 쓰지도 못한다”며 “이런 이유로 학교를 이탈한 고려인 아이들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조직은 안산 지역에서 영어권·러시아권 대안학교를 직영하고 있으며, 두 대안학교 수익으로 방과후 공부방도 운영 중이다.
정치권의 공식 반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으나, 각종 시민사회 단체와 교육계에서는 “이주배경 청소년 맞춤형 지원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현행 제도상 디아스포라 자녀들의 언어 및 학업 지원 체계가 분절돼 사실상 교육 보장 사각지대가 발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회 일각에서는 고려인 공동체의 실질적 정착을 위해 지역별 행정 지원 확대 및 장기적 대안모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시민사회와 일선 교육단체는 올해 들어 이주 배경 청소년 교육지원법 개정, 다문화 특화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신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날 대통령실 앞 기자회견을 기점으로, 고려인 아동의 교육권 보장과 사회통합 지원에 대한 논의가 정치권 안팎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정부와 국회는 이주배경 청소년 교육지원 강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