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사 집결 지시, 집중 문자”…조경태, 계엄 해제 방해 의혹 수사 정점
국회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에 출석해 계엄 해제 방해 의혹 관련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조 의원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측이 텔레그램을 통해 ‘국회 본회의장’이 아닌 ‘여의도 당사로 오라’는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지도부의 개입 여부와 표결 불참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는 데 수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이날 오전 8시께부터 5시간가량 서울고등검찰청에 머무르며 특검 조사에 임했다. 조사를 마치고 나온 조 의원은 “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했는데, 추경호 전 원내대표 측이 본회의장이 아닌 당사로 모이라는 텔레그램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고 발언했다. 이어 “그런 행위를 유도한 의원들, 그리고 추 전 원내대표가 텔레그램에서 침묵하고 있었던 점 등이 수사의 중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와 함께 “적극적으로 당사로 오라고 했던 의원들에 대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특검 조사방향에 무게를 보탰다.

특검팀은 계엄 해제 표결을 앞두고 추경호 전 원내대표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약 7분간 통화한 내역에도 주목했다. 조경태 의원은 “12월 3일 밤 11시 12분에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한 사실이 나왔다”며, 당시 한덕수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 대부분이 계엄에 반대했음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강행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특검은 해당 통화를 기점으로 추 전 원내대표가 ‘위헌·위법한 계엄’을 막지 않은 채 의원들의 본회의장 불참 상황에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수사할 계획이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 108명 중 90명이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불참한 점도 논란이 됐다. 실제로 결의안 표결 당시 국민의힘 의원 중 조경태 등 18명만 참여했으며, 그 결과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결의안이 통과됐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경호 전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가 표결 불참을 유도했는지 여부를 중점 조사 중이다.
계엄 선포 직후,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당초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수정하는 등 장소 변경을 거듭했으며, 그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도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이 “국회 표결을 막아달라”고 요청하고, 추 전 원내대표가 당사 집결을 지시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그러나 추경호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알지 못했으며,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공모한 바 없다고 반박했다.
특검팀은 앞서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우원식 국회의장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계엄 당일의 국회 표결 상황을 집중 재구성하고 있다. 이어 11일 오후에는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도 소환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김 의원은 표결에 직접 참석하진 못했으나, 당시 표결 불참 배경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검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만간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소환조사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충돌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국은 이번 수사를 기점으로 다시 한 번 격랑에 휩싸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