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윤석열·김건희에 전달했지만 대가 없다”…명태균, 공천 개입 의혹 부인
정치권을 뒤흔든 대통령실 공천 개입 의혹을 둘러싸고 핵심 인물 명태균 씨와 특검팀이 법정에서 맞붙었다. 여론조사 전달 대가 여부와 김건희 여사, 김영선 전 의원 공천 논란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며, 증언마다 해석이 갈리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는 22일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김건희 여사 사건의 속행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명태균 씨는 2022년 대선 직전 김 여사에게 총 2억7천만원 상당, 58회의 여론조사를 제공했다는 공소사실에 대해 "실제로 전달한 것은 총 14건이며, 이 중에서 비공표 여론조사는 4건뿐이다"라고 주장했다.

특검팀이 “비공표용 여론조사는 의뢰를 받아서 한 것이냐”고 묻자, 명 씨는 "의뢰를 받은 적 없다. 걱정돼서 내가 한 일"이라고 밝혔으며, "검찰 조사에서 대의 차원이라고 이미 설명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그는 "보수 성향이었고, 당시 문재인 정부가 잘못돼 있다고 봤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당선시키고 싶었고, 저를 인정해줬기 때문"이라고도 덧붙였다.
또한 "왜 여론조사 결과를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했느냐"는 질의엔 "관심이 있고 지지한다는 의미"라고 답했다. 2021년 6월 김 여사에게 보낸 “여론조사는 걱정하지 말라”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당시 윤석열 지지율이 가장 높았으니 안심시키기 위한 말이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김영선 공천은 김건희의 선물’이라는 강혜경 씨의 법정 발언에 대해 명씨는 "강 씨의 사기를 북돋아주기 위한 격려에 불과했지, 실제 공천과 연관은 없다"고 반박했다.
이날 오전에는 김건희 여사의 측근 유경옥 전 대통령실 행정관이 2021년 샤넬백을 교환할 당시 매장 직원 문 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문 씨는 "교환 과정에서 특정 인물과 전화하는 모습을 보고 본인 일은 아니라고 느꼈다"고 진술하며, 유 전 행정관이 통화한 여성의 목소리가 언론에 공개된 김건희 여사 음성과 비슷했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의 목소리 확인 여부 질문에 문 씨는 "퇴근 후 실제로 유튜브로 목소리를 듣고 일치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여사 측은 “3년 전 하루 본 고객의 행동을 지금까지 기억한다는 것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문 씨는 “매장에서 10년 일했고 기억력이 좋다. 해당 상황이 매우 뚜렷하게 남았다”고 필히 답했다.
공천 개입, 여론조사 전달, 샤넬백 수수 등 일련의 의혹에 대해 법정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도 정치권은 팽팽히 충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향후 판결과 추가 증언에 따라 정국 파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