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전공의 복귀 확대에도 필수의료 인력 부족”…의료계 인력 양극화 심화 우려
IT/바이오

“전공의 복귀 확대에도 필수의료 인력 부족”…의료계 인력 양극화 심화 우려

장예원 기자
입력

전공의 복귀를 위한 하반기 모집이 전국 수련병원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정부가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정원을 인정하는 등 적극적인 복귀 유도책을 내놓으면서, 의료 현장의 인력 공백 해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의료계 내부에선 실제 복귀 인력의 상당수는 수도권 및 인기 전공에 집중될 것으로 보여, 필수의료 분야의 구조적 인력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6월 기준 전국 수련병원에서 근무하는 전공의는 2532명으로, 지난해 2월 '의정 갈등' 이전 대비 18.7%에 불과하다. 이번 하반기 모집에선 인턴 3006명, 레지던트 1년차 3207명, 상급 연차 7285명 등 총 1만 3498명 규모의 추가 충원이 계획돼 있다. 정부는 사직 전공의의 복귀를 촉진하기 위해 본래 정원이 이미 채워진 경우에도 '사후 정원'을 허용하고 군 복무 연기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복귀 인력의 지역·과목별 양극화는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공의들은 주로 피부과, 성형외과 등 인기 전공으로 몰리고 있으며, 응급의학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로의 복귀는 저조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 추가모집 결과, 영상의학과·정형외과·비뇨의학과·성형외과 등에서 전공의 증가율이 높았으나,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는 5% 미만의 증가율에 머물렀다.

 

주요 수련병원들은 정부의 추가 정원 인정 방침에도 불구하고, 이미 대체 인력을 채용한 인기과의 경우 정원 포화로 복귀가 어려울 수 있음을 내비쳤다. '빅5 병원' 등 수도권 대형병원에서는 과에 따라 정원이 미달될 수 있으나, 필수의료 분야 지원율은 여전히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인기과에 지원이 몰릴 전망이고, 필수의료는 이번에도 지원 부족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의료 현장 인력 충원의 핵심이 필수의료 서비스 유지를 위한 정책과 수가제도 개선이라고 진단한다. 공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선 의료계 내부의 구조적 인센티브 조정과 함께 정부의 예측가능한 인력 정책이 요구된다. 산업계는 전공의 복귀 확대가 실제 필수의료 현장에 얼마만큼 안착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수급 환경 간 균형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공의#복지부#빅5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