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코바니 원전은 韓기업 능력 인정”…이재명·파벨, 한-체코 협력 확대 시사
한-체코 간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를 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이 뉴욕 유엔본부에서 만났다. 두코바니 원전 수주를 둘러싼 논란 속에서도 양 정상은 협력 의지를 드러냈고, 국내외 정치적 파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에서 "올해는 한-체코 수교 35주년이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이 되는 해"라며 "양국 관계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국은 민주주의를 수호해 온 공통점이 있다"며 "이같은 유사성을 기반으로 더욱 협력해나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최종 수주한 사실을 언급했다. 그는 "체코가 한국 기업의 우수한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히며, "이는 신뢰의 증거"라고 직접 강조했다. 두코바니 원전 사업은 1천메가와트급 한국형 원전 APR1000 2기 공급 계약으로, 약 26조원 규모에 달한다.
이재명 대통령도 "체코 측이 한국 기업 투자에 적극적으로 힘을 실어줬다"며 "원전에서 나아가 반도체·전기차·방위산업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 호혜적 관계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최근 한수원과 한국전력의 두코바니 원전 수출과 관련해 미국 웨스팅하우스사의 불공정 요구 수용 논란이 제기됐던 사안에 대해, 양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산업통상자원부에 진상파악을 지시하며 "국민 의구심을 해소하라"고 지적한 바 있었지만, 뉴욕 회담은 구체적 반론 없이 기존 사업추진 의지만 재확인한 셈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내 논란과 별개로 한국-체코 협력사업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확인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파벨 대통령은 한국의 유엔안보리 의장국 활동에 긍정적 평가를 전하며 "민주국가 간 협력이 시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또 방한 의사를 밝히자, 이재명 대통령은 "정상 간 상호 교류와 협력 심화가 양국 발전을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정부는 두코바니 원전 사업의 추가 후속 협의와 함께, 반도체·방위산업 등 폭넓은 분야로 협력 확대를 모색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국내 논란 진화와 실질적 국익 확장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