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고양시 미세먼지 8년 만에 최저치"…친환경 정책 효과 가시화
사회

"고양시 미세먼지 8년 만에 최저치"…친환경 정책 효과 가시화

최동현 기자
입력

고양시가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 결과 지난해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친환경 행정의 효과가 확인됐다. 경기도 대기오염정보센터가 지난 10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고양시의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34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 초미세먼지(PM2.5)는 18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로 2017년 대비 각각 38%, 35% 감소한 수준이다.

 

고양시는 그간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된 수송 부문 감소에 집중해왔다. 시는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166억 원을 투입해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저감장치 부착, 건설기계 엔진 교체 등을 추진했고,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와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힘을 쏟았다. 이 외에도 도시 내 전체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48%를 차지하는 교통 부문 대책이 집중적으로 마련됐다.

출처: 고양시
출처: 고양시

녹지 확충 정책도 순항 중이다. 2022년부터 도시숲과 포켓숲 53개소를 조성해 45만 5679제곱미터의 녹지를 확보, 당초 2026년까지 목표로 했던 51개소를 조기 달성했다.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 지원도 병행되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깨끗한 공기는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도시 자원”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한 정책 실행을 통해 후세에 쾌적한 환경을 물려주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배출원별 맞춤형 감축 정책과 녹지 확대, 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 다각적 노력이 실제 미세먼지 개선 효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한편 시는 앞으로도 시민 참여 확대와 정책 지속 추진을 통해 ‘청정 고양시’ 실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고양시의 사례는 지역 단위의 적극적 환경 정책이 미세먼지 저감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당국은 향후 미세먼지 발생원별 관리 체계 점검과 더욱 강화된 친환경 정책 추진에 나설 방침이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고양시#미세먼지#친환경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