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차카 강진, 쓰나미는 작았다”…한국, 불의 고리 안전지대 재확인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역대 6위급 초대형 강진이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지진·해일 경보 체계를 작동시켰다. 불의 고리라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 한복판에서 일어난 이번 지진은 일본과 하와이 등지의 쓰나미 경보 발령 및 대피 조치로 이어졌으나 한국에는 별다른 위협을 주지 않았다. 업계와 학계는 “진도와 쓰나미 파장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한층 중요해졌다”며 향후 한반도 인근 지진 발생에 따른 방재 시스템의 지속 점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캄차카 대지진은 USGS(미국지질조사국) 분석 기준, 2021년 동일본 대지진과 2004년 남아시아 해양 판구조 운동에 이은 초대형 지진으로 기록된다. 초진 이후에도 규모 7 내외의 여진이 나타났으나 쓰나미 높이는 최대 4.5m, 일본·하와이에서는 각각 1.5m 및 1m 내외로 제한됐다. 일본에서 대피 중 사고로 1명의 사망자를 제외하면 직접적 인명 피해마저 희박했다. 이번 캄차카 지진 사례는 에너지 방출 깊이와 단층의 수평적 균열 비율이 쓰나미 생성 메커니즘에 크게 관여함을 보여주었다.

과거 2004년 남아시아(쓰나미 높이 최대 40m, 사상자 23만 명)와 2011년 동일본(50m, 2~3만 명) 대지진의 충격에 견주면, 이번 캄차카 대지진 쓰나미 규모는 지반 수직 변위가 적었던 영향으로 분석된다. 캄차카의 경우 단층 이동이 6~9m, 주로 수평 방향으로 일어났고 해저의 수직 팽창이 제한적이었다. 동일본은 400km, 캄차카는 500km 이상 단층이 갈라졌으나, 에너지 분포 방향 차이로 인한 쓰나미 파장 격차가 관측됐다.
한국은 환태평양판과 달리 유라시아판 내륙에 위치해 대형 해저지진의 직접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 일본 열도가 태평양 해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상청 기준, 캄차카 강진 당시 한반도 전역에 지진해일 특보 기준(높이 0.5m 이상)에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과거 1983년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7 지진과 2m급 쓰나미, 그리고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지진 빈도 증가 사례는 안전지대의 ‘맹신’이 위험하다는 경고로 남아 있다.
특히 2009년 영화 ‘해운대’가 대중적으로 각인시킨 동해안 대형 해일 가능성은 현실적인 우려가 아님에도, 실제 동해 울릉분지와 일본 서해안 인근의 해저지질 구조상, 동해안 지역은 해일 피해 포텐셜이 있다는 것이 학계의 분석이다. 울릉분지 등의 해저지층 및 응력 축적 현상, 그리고 일본 난카이 대지진과 같은 초대형 외부 충격 등은 한반도 동측에 추가 위협 요인이다.
규모와 확률이 작더라도, 쓰나미가 도달할 경우 1~2m의 해수 상승만으로도 인명·재산 피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국내 기상청과 행정안전부는 지진해일 경보구역과 대피소 지정, 위성·해양자료 기반의 조기 경보 시스템 강화, 휴대폰 재난문자 실시간 전송 등 대비책을 꾸준히 고도화 중이다. 향후 인근 지역 초대형 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 지질환경 및 지진 패턴이 변할 수 있다는 의견도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홍태경 연세대 교수는 “캄차카 지진은 에너지가 주로 수평 방향으로 퍼지면서 지표면 변화가 작았고, 이로 인해 해일 세기도 줄었다”며, “이웃국가에서의 대형 지진이 한반도에도 간접적으로 긴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2m급 해일도 치명적일 수 있는 만큼, 조기 위험 인지와 대피가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변동하는 환경에 맞춘 방재·예경보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함께, 실제 시장에 맞는 기술적 대응의 실효성 확보 여부에 계속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