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방 협력으로 첨단성장 견인”…김민석, 취임 후 첫 대구 방문
정치적 주체성과 지역 발전 전략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2일 대구시청을 찾아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과 면담하며 지방의 행정 안정과 균형감각을 강조했다. 김 총리의 이번 대구 방문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중앙-지방정부 협력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됐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공무원으로서 원래 일하시던 분들이 책임을 갖고 맡고 있기 때문에 균형 감각 있게, 불편부당하게, 행정적 안정성을 가지고 대구 시정을 잘 이끌어 가시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는 전날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명칭을 ‘지방정부’로 바꾸자고 제안한 것을 언급하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협력해야 하고, 협력이 중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김 총리는 대구의 산업적 전환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대구의 중요성이나 의미 이런 것은 더 말할 나위도 없고, 과거 섬유를 비롯해 제조업으로 일종의 전성기 같은 시기가 있었다”며, “지금은 시대가 변하면서 첨단 ICT의 날개를 달아야 신성장 산업으로 나아갈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2024년 국정감사 당시 대구시청을 방문해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만났던 경험을 언급하면서 “이제 시장이 없기 때문에 소통과 협력이 필요해 꼭 대구를 찾겠다는 생각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번 면담에서 총리실과 대구시는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대구 취수원 이전, 지역거점 AX(인공지능 전환) 혁신기술 개발 등 지역 사회의 중점 과제들을 논의했다. 또 김 총리는 대구 현지에서 ‘청년 일자리’를 주제로 제4차 K-토론나라 행사도 함께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김민석 총리의 대구 방문이 단순 지역 행보를 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유기적 협조, 미래 산업으로의 구조 전환 전략 등 정국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계기로 해석하고 있다. 대구시의 차기 시장 선출 전까지 행정 공백 최소화와 신산업 육성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정부는 향후 대구를 비롯한 지방 주요 도시와의 협력 확대 및 청년 일자리, 신성장 산업 육성 등 정책 지원 방안을 지속해서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