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소비자물가 0%로 제자리”…중국, 디플레이션 우려에 경기부양론 재점화
국제

“소비자물가 0%로 제자리”…중국, 디플레이션 우려에 경기부양론 재점화

전서연 기자
입력

현지시각 9일, 중국(China) 국가통계국이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과 동일한 0%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중국발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시금 고조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추가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7월 CPI 기록은 당초 시장 전망치(-0.1%)보다는 다소 양호했지만, 6월(0.1%)과 비교해 다시 상승세가 멈춘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상반기 중국 CPI는 1월 내수 촉진 정책과 춘제(설 명절) 영향으로 0.5% 올랐으나, 2월에는 0.7% 하락, 3∼5월에도 약보합세가 이어졌다. 6월 플러스 전환 이후 7월에는 다시 불안정한 흐름을 보였다.

중국 7월 소비자물가 0%…디플레 우려 지속
중국 7월 소비자물가 0%…디플레 우려 지속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7월에 전년 대비 3.6% 떨어지며 3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6월 기록 역시 동률(마이너스 3.6%)로 최근 2년간 최대 폭 하락이라는 점에서, 소비와 생산 전반에 퍼지는 가격 약세가 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같은 수치는 미중(USA-China) 무역 갈등 등 대외 불확실성과 내수 침체가 겹치며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의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며, 저물가 환경에서 소득·고용 지표마저 부진해질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블룸버그,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도 “중국이 성장 모멘텀 약화의 경로에 진입한 모습”이라며, 디플레이션 국면에 대한 정부 대응책이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향후 중국정부가 추가 금리 인하, 소비세 인하, 대규모 재정 투입 등 보다 직접적인 경기부양 정책으로 나설지에 전 세계 금융 시장의 시선이 쏠려 있다. 당분간 투자자들 역시 신중한 시장 접근을 권고받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구조적 성장 둔화와 가격 부진이 함께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정책적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제사회는 중국의 하반기 경기 대응 방향과 그 실질적 효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중국#소비자물가#디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