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센터로 시스템 분산 복구”…행안부, 소방청 등 5곳과 협의 착수
막대한 국가정보 시스템이 주문진 대전 본원 화재 이후 대구센터로 분산 이전 복구된다. 행정안전부는 장애를 입은 709개 정보시스템 가운데 20개 주요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 및 복구를 소방청 등 5개 부처와 협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전체 시스템 복구 안정성 확보와 미래 재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전략적 분산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화재 피해로 마비된 709개 시스템 중 325개가 16일 낮 12시 기준 복구(45.8%)를 완료했다. 나머지 384개 시스템 가운데 288개는 이달 말, 76개는 11월 20일까지 가동을 목표로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소방청·보건복지부 등 소관부처 5곳의 20개 잔여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물리적 이전 복구가 추진된다.
대구센터 이전은 민간 클라우드와 국가센터 이중화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기존 단일시설 집중의 위험을 넘어 다중 분산 운영 체계로 옮기는 것이 핵심이다. 이전 과정에서 각 시스템의 사업연속성,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중요한 만큼, 정부는 수시 협의체를 운영해 부처 간 일정, 기술검증, 운용 노하우를 공유한다.
복구 대상에는 국민법령 정보, 생명·안전 관련 통합관리, 병상 배정 등 일상과 밀접한 정보가 포함돼, 서비스 장애가 장기화될 경우 행정 신뢰와 공공서비스 품질에도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미복구 중인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7일까지,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차주 초 복구를 완료하겠다는 일정을 밝혔으며, 예비체계 가동을 병행한다.
주요 선진국 역시 최근 대규모 공공IT 인프라의 내진·분산·클라우드 대체 수단 마련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미국 연방정부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단일 IDC에서 멀티리전 클라우드 체계로 이전했고, 유럽도 재해복구(DR) 규정 강화가 산업 표준이 됐다.
정보보호, 데이터 관리 등급 재조정 문제도 핵심 이슈로 꼽힌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국민 안전과 직결된 시스템의 등급을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민간 클라우드와 국가센터 결합 관리에 대한 실증적 기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산업계는 정보시스템의 복구 속도와 데이터 품질, 이중화 체계 완성도를 핵심 경쟁력으로 본다. 전문가들은 "공공 IT 인프라의 분산·이중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단순 복구를 넘어 예측가능한 재난 대응 체계와 내재적 복원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구센터와 민간 클라우드 기반 복구가 차질 없이 진행되면, 향후 전국적 정보자원관리 분산 체계 확장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술 인프라 발전과 더불어, 데이터 재조정과 분산 운영 전략의 실효성을 현장에서 검증하며 제도·정책의 보완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정보시스템 분산 복구 전략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