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명칭 변경 부적절”…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정체성 훼손 우려
통일부 명칭에서 '통일'을 삭제할지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과 학계에서 격화됐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은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통일정책포럼에서 “통일부에서 통일을 삭제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김천식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통일부는 우리 민족의 통일 의지와 통일의 권리를 국가기구로서 표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그것이 없어졌을 때 국가정체성과 대외적 메시지에 미칠 악영향은 매우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통일을 포기한 것으로 이해하게 될 것”이라며 부처 명칭 변경 시 국가 존립 가치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포럼 참석 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김천식 원장은 “지난주 총리 간담회에서 김민석 총리가 의견을 묻기에 '바꿀 일이 아니다, 바뀌어서는 안 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며 “통일부는 이름 자체가 역할의 90%를 차지하기 때문에 명칭에서 '통일'이 빠지면 존립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로 규정하고 통일 추구 의지를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남북 대화 방식 변경을 위해 통일부 명칭에서 '통일' 제거를 검토해야 한다는 제언이 제기돼 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토대 위에서 통일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정 후보자는 명칭 변경 필요성을 언급하며, 기존 입장과 차별화된 시각을 드러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통일부 존립 가치를 놓고 설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와 전문가 집단 사이에서도 신중 논의와 즉각 개편을 둘러싼 입장차가 부각되고 있다. 여론 역시 전통적 통일 정책 기조 유지와 현실 대응 사이에서 균열을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회는 향후 관련 상임위 논의와 청문회를 통해 통일부 명칭 및 정책 기능 조정을 본격적으로 다룰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