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신축 철도역사 36곳 모두 누수”…염태영, 코레일 부실공사 책임론 제기

오태희 기자
입력

철도역사 부실공사를 둘러싸고 국회와 정부기관 사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국회의원이 전국 신축 철도역사에서 반복되는 누수 문제를 지적하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국가철도공단의 관리·감독에 대한 책임론을 본격 제기했다. 신축 역사 36곳 모두에서 누수가 발생한 사실이 국정감사 자료에서 드러나자, 부실 시공에 대한 비판과 근본적 대책 요구가 거세지는 모습이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의원이 코레일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신축된 전국 36개 철도역사 전부에서 누수 총 140건이 발생했다. 3년 하자담보 기간 내에 발생한 누수만 해도 119건에 달해 시공사의 책임이 집중되고 있다. 누수 건수는 2022년 221건, 2023년 301건, 2024년 427건 등 해마다 증가세가 뚜렷했고, 제천역이 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남역, 남창역에서도 다수의 누수가 보고됐다.

염태영 의원은 “신축 역사에서 이미 누수가 발생하고 있어, 표면적인 하자 보수는 '사후약방문'으로 보인다”고 꼬집으며 “국가철도공단은 철도 역사 건설 때 선도적인 누수 방지를 위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줄곧 본질적 원인 해결이 미뤄지고 있고, 예산만 투입하는 근시안적 대처를 반복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자료와 현장 상황을 비춰 공사 전반의 관리 책임을 강도 높게 요구하는 한편, 한국철도공사에도 실질적인 하자 예방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코레일 측은 “지속적으로 시공사와 협력해 신속한 보수와 예방 조치를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누수 발생 빈도와 지역 편중 현상에 시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철도역사 건설 시 안전과 품질관리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면서, 정치권에서도 부실시공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개선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회는 이번 자료를 토대로 향후 국가철도공단과 코레일을 대상으로 책임 소재와 후속 대책 실효성에 대한 집중 질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염태영#코레일#철도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