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천억 원대 희토류 자석 공급 계약”…애플, 미국 내 공급망 대폭 강화
15일(현지시각) 미국(USA) 캘리포니아에서 애플(Apple)과 MP 머티리얼즈(MP Materials)가 7천억 원 규모의 희토류 자석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CNBC 등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공급망 확대와 부품 수급 안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미중 갈등 이후 전 세계 공급망 지형 변화에도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현지 시각 기준으로 15일 오전, 캘리포니아에서 공식 발표된 이번 계약에 따라 MP 머티리얼즈는 캘리포니아 공장에서 가공한 원재료를 텍사스 공장으로 이동시켜 자석을 생산하고, 2027년부터 애플에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이다. ‘희토류 자석’은 아이폰의 햅틱 엔진, 오디오 및 마이크 등 다양한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다.

애플은 최근까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희토류 자석을 공급받아 왔다. 중국(China)은 지난 10여 년간 희토류 시장과 제조 부문을 사실상 독점하며 글로벌업체들의 공급망 취약성을 노출시킨 바 있다.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 관세 부과 조치 후 중국 정부가 희토류 자석 수출을 통제하면서, 업계 전반은 생산 중단 등 리스크를 경험했다. 미중 협상으로 자석 공급은 정상화됐으나, 글로벌 기업들은 이후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신규 업체 발굴을 가속화했다.
이번 계약 추진 역시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요구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와 무관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서 애플과 팀 쿡 CEO를 지목하며 미국 내 공급망 확충을 거듭 촉구해왔다. 이에 애플은 인도와 베트남 등 아시아국 외에도 미 현지 투자 비중을 점진적으로 높이고 있다.
미국(USA)뿐 아니라 일본(Japan) 및 유럽(EU) 등도 탈중국 공급망 전환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애플의 이번 결정이 미-중 공급망 분리의 본격적 신호”라고 평가했다. CNBC 역시 글로벌 산업계의 공급망 다변화가 대세로 굳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업계 전문가들은 미국 공급망이 강화되면 애플뿐 아니라 전방위 산업의 부품 조달과 생산 구조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한다. “탈중국 공급망 전환 속도가 빨라질수록 글로벌 주요 기업의 생산 및 투자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향후 애플의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이 IT·제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