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챗봇도 AI로”…농진청·네이버, 맞춤형 영농 지원 본격화
AI 기반 영농 지원 서비스가 농업 현장에 본격 진입한다. 농촌진흥청이 네이버클라우드와 손잡고 24일 공개한 농업 인공지능(AI) 에이전트는 고령화, 인구 감소, 기후변화 등 복합적 문제에 직면한 국내 농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한다. 이번 서비스는 5만여 건의 실제 농업기술 데이터와 1700여 건의 동영상 등 방대한 농업 정보를 AI가 학습해 최적의 정보와 경영 해법을 제공한다. 업계는 “AI 기반 챗봇이 농민의 의사결정 구조 자체를 바꿀 수 있는 기점”이라고 본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7월부터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AI 영농 도우미 개발을 추진해 올해 시범운영을 마친 후, 24일 ‘최신농업기술알리미’ 앱을 정식 출시했다. 이 앱은 농업백과, 농업교육, 영농설계 등 세 가지 기능영역으로 구성돼 질문에 실제 데이터‧문서 근거를 밝히는 ‘생성형 AI 챗봇’을 전면에 배치했다. 특히 ‘환각’으로 지적되는 생성형 AI의 허위 정보 한계를 최소화하는 데 방점을 두고 개발돼, 농업 전문 포털 ‘농사로’와 각종 영농 기술서의 실질적 정보를 기반 삼아 신뢰성을 높인 점이 두드러진다.

이 서비스의 구조적 강점은 네이버클라우드의 대규모 언어모델(LLM) 및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해, 농업 데이터와 최신 AI 기술을 융합했다는 것이다. 농업백과 챗봇은 사용자의 영농 궁금증에 근거 자료와 함께 답변을 제시하며, 농업교육 모듈은 1700여 건의 동영상 자료를 AI와 연계해 맞춤형 학습, 즉각 질의응답, 요약 기능까지 제공한다. 영농설계 영역에서는 최근 10년간 농산물 소득자료 분석을 통해 귀농·경영 단계별 실질 정보를 지원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농업 AI 챗봇은 해외 ‘스마트 농업’ 트렌드와 궤를 함께한다. 미국, 유럽 등 일부 국가는 자국 농업 데이터와 AI를 결합한 자동 진단, 생산성 예측 서비스를 시범 도입 중이나, 정부기관 주도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시킨 국내 시도는 드물다. 한국 농진청 서비스는 방대한 데이터 신뢰성과 현장 밀착성, 클라우드 AI 구현력을 동시에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규제 측면에서는 농업 정보와 개인 데이터가 복합적으로 오가는 만큼, 향후 개인정보 보호와 AI 답변의 투명성 문제가 법제·정책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농진청은 이미 서비스 검증 단계부터 전문가 판단, 데이터 신뢰성을 이중 검증해 나가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음성 질의응답, 이미지 기반 현장 진단, 2025년까지 병해충 이미지 판별 등 기능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상호 농진청 기획조정관은 “귀농가구의 가장 큰 애로는 소득과 농사 경험 부족”이라며 “AI 도입으로 초보 농민도 최적의 영농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술과 현장 운영 개선이 맞물릴 때, 디지털 농업 시대의 실질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농업 AI 에이전트가 실제 농업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