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간극 많이 좁혀졌다”…김용범·김정관, 한미관세협상 미행행 보도
한미 통상 현안을 둘러싼 협상 테이블에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미국 정부 고위 인사들과 맞붙었다. 관세 협상부터 통화스와프, 외환시장 이슈까지 민감한 사안들이 동시에 논의되는 가운데, 한미 양국의 입장 조율에 대한 기대감과 불확실성이 교차하고 있다.
김용범 실장과 김정관 장관은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차례로 취재진에게 향후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 일정을 설명했다. 김 실장은 "지금 국제통화기금 IMF·세계은행 연차 총회 기간으로 각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한자리에 모인다"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에서 한미정상회담을 준비하기에도 적절한 시기"라고 밝혔다. 이어 "여러 갈래로 이뤄지는 논의를 한 자리에 모아 입장을 조율하고 협상을 가속화하자는 판단으로 미국을 함께 방문한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이번 협상에서 상무, 재무, 무역대표부 USTR 등 미국 주요 부처 인사들과 각각 협상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관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와 구체적 쟁점별로 만남을 진행할 예정이다.
협상 전망에 대해 김 실장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이전에는 미국 각 부처가 긴밀히 소통하는 분위기가 감지되지 않았지만, 이번엔 재무부와 USTR, 상무부가 서로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한미 통화스와프, 외환시장 논의 등에 대해 김정관 장관은 "미국 측과의 오해, 격차, 이해의 간극이 많이 좁혀졌다"며 실질적 접점 도달에 의미를 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미투자금 3천500억 달러 선불 합의' 발언에는 "외국 정상이 한 발언에 토를 다는 건 적절치 않다"면서도, "여러 내용 가운데 하나일 뿐 협상 과정에서 다양한 사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APEC 정상회의 계기 관세협상 최종 타결 전망에는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김정관 장관은 "두 정상이 만나는 기회이긴 하지만, 우리 국익과 국민의 이익에 부합하는 합의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익을 우선하며, 협상 결과에 조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한국과 미국이 동시다발적으로 고위 인사 협상에 나선 만큼, 이번 회동 결과에 따라 통상·외환·투자 등 전방위 분야 파급이 클 전망이다. 정부는 관세 협상 진척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다음 달 APEC 정상회의 전후 타결 여부를 최종 조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