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산 황해쑥으로 기능성 강화”…동아제약, 소재·원료 패권 노린다
IT/바이오

“국산 황해쑥으로 기능성 강화”…동아제약, 소재·원료 패권 노린다

정재원 기자
입력

동아제약이 식물성 기능성 소재 산업에서 새로운 국산 원료 성공사례 확보에 나섰다. 국내 자생 생약의 유전자원 보호와 식품·바이오 소재 산업 자립을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황해쑥 ‘평안애’ 품종의 산업 확대 MOU를 24일 체결했다. 기업 주도 건강기능식품화와 국가기관의 품종 기술이 결합되면서, 생약기반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의 대표 사례로 주목된다. 업계는 이번 협약을 ‘국내 기능성소재 시장 패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동아제약이 개발한 황해쑥추출물은 위 점막 보호 등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료다. 동아제약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공동 실시한 12주간 인체적용시험에서, 소화불량 성인 93명의 위장관 증상 지수(GSRS)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원료의 기능성은 복합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성분의 면역·항염작용에서 비롯되며, 기존 쑥과 달리 품종 고도화를 통한 유효성분 농축에 강점이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기술은 수입산 원료 위주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국산 품종 기반 대체 가능성을 열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평안애’ 육성 및 농가 매칭, 보급을 지원하고, 동아제약은 비임상·임상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화를 추진한다. 생산농가는 원료의 대량화·품질관리 주체가 된다. 농촌진흥청이 2024년 공식 등록한 평안애 품종은, 기존 황해쑥 대비 유효 성분함량과 재배 안정성이 개선된 신품종으로, 전통 생약의 과학적 제품화 본보기로 꼽힌다.

 

글로벌 기능성식품 시장에서는 원료특허와 임상 데이터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일본·유럽은 자생 식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활용한 기능성 인정으로 해외 시장 선점에 주력 중이며, 중국 역시 전통약재의 산업 표준화 전략을 강화하는 추세다. 이번 평안애 협력은 국내 업체가 품종개량-원료공급-제품화까지 전주기 밸류체인 확보에 나서는 첫 사례로 평가된다.

 

현재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련 규제는 식약처의 개별인정형 원료 심사, 인체 적용 근거자료 제출 등으로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황해쑥추출물은 인체적용시험, 분자기전 분석 등 다각도의 과학적 데이터 축적을 통해 해당 규제 기준을 충족했다. 향후 평안애 활용 제품이 보험급여나 건강상담 플랫폼 등 다양하게 연계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윤춘희 동아제약 연구소장은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효능 연구와 국산 소재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평안애 프로젝트가 국내 생약분야 기술 패권 경쟁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기능성 신소재의 시장 안착 여부와 원료 국산화가 상호 작용할지 주목하고 있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동아제약#황해쑥#평안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