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비중 16년 만에 최대 폭 확대”…미국 빅테크, 투자심리 이끈다
현지시각 16일, 미국(USA) 뉴욕 금융가에서는 기술주에 대한 투자 비중이 2009년 3월 이후 1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조치는 미국 빅테크 중심의 투자 심리가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다시 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실시한 월간 펀드매니저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술주를 ‘비중확대’로 평가한 비율은 순 14%에 달했다. 전달 조사에서는 순 1%가 ‘비중축소’ 의견을 냈던 점과 대조적이다. 뉴욕 나스닥지수는 4월 연중 저점 대비 33% 이상의 상승세를 보이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발언이나 관세정책과 관계없이, 투자자들이 AI(인공지능)와 반도체·클라우드 등 주도 산업의 지속 성장성에 주목한 결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4.04% 급등하며 주가 170.70달러, 시가총액 4조달러 돌파라는 이정표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플랫폼, 알파벳, 아마존, 애플, 테슬라 등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M7)’ 역시 오는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마리아 베이트마네 주식리서치 책임자는 “강력한 이익 성장과 높은 현금흐름, 수익성이 투자자들을 끌어들였다”고 진단했다. 바클레이즈의 베뉴 크리슈나는 “빅테크가 주도권을 되찾았다”며 “2분기 실적에서 기준치를 뛰어넘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쏘아올렸다.
최근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첨단 H20 칩 중국 수출을 허가한 점도 기술주 호재로 거론된다. 페더레이티드 헤르메스의 제시카 헨리 투자책임자는 “AI와 반도체 산업 전망이 밝아지며, 미국의 기술 경쟁력 강화 의지가 직간접적으로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이와 달리 BofA의 엘야스 갈루 투자전략가는 “기술주 가치평가(밸류에이션)가 역사적으로 고평가된 상태임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현재 기술주 투자 비중은 장기 평균에 비해선 여전히 낮은 편이란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빅테크 실적 호조가 지속될 수 있으나, 관세·규제와 밸류 부담 등 변수에도 유의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뉴욕타임스와 CNBC 등 미국 주요 경제매체 또한 “미국 기술주로 글로벌 자금이 쏠리는 전환점”이라 평가하며 장밋빛 전망과 동시에 시장 과열 신호를 동시에 조명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 글로벌 규제정책, 이익 성장세의 지속 가능성 등에 따라 향후 투자 동향이 쉽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투자자 및 국제금융계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빅테크 랠리’가 장기 추세로 자리잡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