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활용 골이식재 개발 가속”…셀루메드, 신속한 후보물질 선별로 R&D 효율↑
경제

“AI 활용 골이식재 개발 가속”…셀루메드, 신속한 후보물질 선별로 R&D 효율↑

정유나 기자
입력

셀루메드가 AI를 접목한 차세대 골이식재 연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후보물질 탐색에 6~7개월이 걸리던 기존 방식 대비,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플랫폼 ‘알파폴드3(AlphaFold 3)’를 활용해 개발 기간을 크게 줄이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셀루메드는 22일 “지난 7월부터 AI 기반 펩타이드 융합 골이식재 개발에 착수해, 최근 신규 후보물질 8종을 선별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연구에서 BMP2와 다양한 성장인자의 단백질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고, 새롭게 디자인된(de novo design) 펩타이드 후보물질과의 결합 상호작용·결합력·안정성을 집중적으로 검수했다고 설명했다.

출처=셀루메드
출처=셀루메드

업계에서는 AI 기반 자동 설계와 분석이 신약·의료소재 개발 등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다. 셀루메드는 “AI 기술 활용으로 후보 물질 탐색 과정이 단축됐다”며, “발굴된 8종 후보물질은 현재 추가 검증이 진행되고 있고, 향후 최적화 단계를 거쳐 핵심 후보군을 선정해 연내 동물모델 유효성 검증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최근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이 AI 플랫폼 기반 신소재·신약 개발 트렌드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도 관련 기업들의 기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셀루메드는 AI 기반 연구개발을 모든 단계에 확대 적용해 혁신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현재 셀루메드는 정형외과용 ‘라퓨젠 DBM’, 치과용 ‘라퓨젠 덴탈’ 등 골이식재 생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올해 초부터 생산공정 TFT를 도입해 생산능력도 기존 대비 두 배 이상 늘렸다.

 

향후 AI와 바이오 융합 연구개발 트렌드가 의료기기 산업 전반에 확산될지 주목된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셀루메드#ai#골이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