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21 공대지 능력 2027년 확보”…방사청, 전력 강화·수출 확대 기대
한국형 전투기(KF-21) 공대지 능력 확보 시기가 2027년 상반기로 1년 반 이상 단축되며, 방위사업청이 국방 전력 강화와 방산 수출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8일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17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는 KF-21 체계개발기본계획 수정안을 비롯한 대규모 무기체계 구매 및 연구개발 계획이 잇따라 의결됐다.
이날 방위사업청은 "우리 군의 공중 전력 강화는 물론 항공산업의 경쟁력 증대와 방산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존 2028년 말로 예정됐던 KF-21 공대지 무장 시험과 실전 배치 시점은 추가 무장시험 계획 승인으로 인해 2027년 상반기로 단축된다. 이에 따라 F-4, F-5 등 기존 노후 전투기 대체 사업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8조8천142억원이 투입돼 2028년까지 진행되는 KF-21 사업은 미래 전장운용개념에 맞는 최고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이날 방추위에서는 미국산 해상작전헬기 MH-60R(시호크) 추가 구매방침도 확정됐다. 해상작전헬기-Ⅱ 사업은 링스(Lynx) 등 해군 노후 헬기를 대체하기 위해 3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방위사업청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적 함정에 대한 수중 및 수상 감시, 신속 공격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입은 정부 간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2032년까지 진행된다.
한편 전투용 무인수상정, 고속상륙정(LSF-Ⅱ), 리본부교-Ⅱ 등 국내 기술 기반 대형 연구개발·구매 사업도 이날 승인됐다. 전투용 무인수상정(사업비 6천94억원·2026년까지)은 유인 함정과 복합체계를 조성, 인명 피해 최소화와 전투 효율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고속상륙정 배치-Ⅱ(9천998억원·2036년까지)는 적 해안으로부터 원거리 상륙돌격 능력을 갖추게 되며, 리본부교-Ⅱ(9천78억원·2035년까지)는 하천 도하 임무에서 군 기동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서는 방위산업 독자성과 전력 현대화 강화에 방점을 두는 반응이 나온다. 앞으로 정부는 이들 사업의 세부 일정 관리와 국내 방산업체 역량 강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이날 국방부는 각 무기체계 확보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공개하며, 추가적인 한국산 무장 개발과 장비 교체 사업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