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진술 전면 거부”…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소환에 자진 출석하며 조기 휴식 요청

김서준 기자
입력

내란 및 외환 의혹 수사를 둘러싸고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면충돌했다. 윤 전 대통령이 15일 오전 특검팀에 자진 출석했으나, 조사 시작 직후부터 전면적인 진술거부권을 행사해 조사에 난항을 예고했다. 특검팀의 강제 체포영장 집행 움직임에 윤 전 대통령 측이 "기습 집행"이라며 강력 반발하면서, 양측 간 신경전도 고조됐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공식 브리핑에서 “오전 10시 14분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외환 의혹 조사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 7월 재구속된 이후 공식적으로 수사기관에 출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앞서 ‘평양 무인기 투입’ 등 외환 혐의를 중심으로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출석을 통보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모두 응하지 않아 체포영장 청구까지 이르게 됐다.

실제 박 특검보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체포영장을 청구해 1일 발부받았고, 이에 따라 2일 서울구치소에 영장 집행을 지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치소 측이 집행계획을 통보하자 윤 전 대통령이 임의출석 의사를 밝혀, 이날 체포영장 집행은 이뤄지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오전 7시 30분경 교도관들의 기습적 영장 집행 시도에 대응해, 세면도 못한 채 임의로 출석했다"며 특검팀 절차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날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맡았고, 윤 전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입회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모든 질문에 대해 진술거부권을 행사한다”고 밝혔고, 실제로 인적사항부터 일체 진술을 거부했다. 영상녹화 조사에도 불응하며 약 1시간 만에 휴식을 요청했다. 변호인단은 “이미 1, 2차 조사에서 입장을 충분히 밝혔다”며 반복되는 조사를 이유로 진술을 거부한다는 입장이다. 특검팀 측은 “진술 거부와 상관없이 준비한 질문을 모두 소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북한 도발 명분을 만들기 위해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을 지시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 다수 군 지휘 임무자를 소환 조사했으며,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군 핵심 관계자 다수에게 비화폰으로 무인기 작전을 문의한 정황도 파악됐다. 김 사령관이 ‘V 보고서’ 작성에 직접 관여했다는 드론사 내 진술도 추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이미 구속·기소된 상황에서 외환 혐의 관련 추가 기소 가능성도 커졌다. 박 특검보는 "가급적 10월 중 기소를 목표로 한다"면서도 “윤 전 대통령 측의 진술 거부로 조사 범위가 더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체포영장 집행 유효기간이 오는 17일까지여서, 이날 조사에 진전이 없을 경우 추가 소환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조은석 특검팀이 외환 의혹 핵심 쟁점에 더욱 집중하면서, 윤 전 대통령 측의 대응도 강경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이 이달 중 혐의 내용을 확정해 기소 수순에 돌입할지, 또는 추가 조사를 이어갈지 정치권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특검#외환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