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장애 복구율 64.2%”…행안부, 핵심 시스템 정상화 총력
행정안전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월 23일 낮 12시 기준 전체 장애 시스템 709개 중 455개가 정상화돼 복구율 64.2%를 기록했다. 전산망 장애는 정부의 핵심 업무망뿐 아니라 국민 일상과 직결되는 서비스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 만큼, 빠른 복구와 안정성 확보가 산업 전반의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가장 최근 재가동된 시스템은 질병관리청 전자연구노트시스템과 행정안전부의 온국민소통 등으로, 연구·위기대응 및 대국민 정보 전달 플랫폼이 순차적으로 정상화됐다.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32개(80.0%)가 복구된 가운데, 2등급 49개(72.1%), 3등급 178개(68.2%), 4등급은 196개(57.6%)로 등급별 우선 복구 속도가 차이를 보인다.
정부 전산망은 대국민 행정 서비스, 공공 데이터 관리, 위기대응 시스템 등 IT 기반 공공 인프라의 중추다. 이번 사고로 인해 정보 백업, 물리적 재해 대비 시스템 다중화, 원격 모니터링 등 디지털 행정체계의 기술·운영적 보완 필요성이 재확인됐다. 특히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전국 중복 분산 인프라, 실시간 장애 탐지체계 등의 기술적 대응 방안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사고와 같이 대규모 전산망 장애 시, 공공기관 협업 구조와 컨트롤타워의 신속 대응 능력이 산업계 전반뿐 아니라 국민 생활 안정과 직결된다.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비상 재해 대비 DR(Disaster Recovery)센터 운영, 핵심 인프라 우선 복구 프로토콜 등 체계적 관리가 법제화되고 있어, 국내 역시 후속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IT와 행정, 국민 생활이 융합된 영역에서 시스템 복구력과 데이터 보호 수준이 곧 국가 디지털 경쟁력의 척도가 된다”고 분석한다. 현재 정부는 모든 복구 시스템의 연속적 안정성 점검과 보안 강화, 상시 대응 조직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전산망 장애 복구 경험을 계기로, 범정부적 디지털 인프라의 재난 대응 체계 고도화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