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증거 인멸 의혹 전면 부인”…KAI, 불법 납품·비자금 논란에 해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무인기 불법 납품, 증거 인멸, 비자금 조성 등 일련의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논란 해명에 나섰다. 이번 의혹은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국회를 통해 제기했으며, KAI는 같은 날 공식 입장자료를 배포해 반박했다.
KAI는 “담당 임원의 PC를 포함해 관련 전산기기는 포맷이나 개별 조치 없이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 중”이라며, 증거 인멸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규에 따라 매년 노후 전산기기를 주기적으로 폐기하고 있으며, 올해 10월 기준 저장매체를 제거한 기기 3132대를 일괄 폐기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3월 중순 실시된 저장매체 파쇄 역시 무인기 사업 이슈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비자금 조성 의혹에는 “KAI의 투자금은 모두 투자회사 명의 공식 계좌를 통해 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므로, 경영진이 임의로 유용할 구조 자체가 없다”고 반박했다. 강구영 전 사장의 자문료 특혜 논란에 대해서도 “모든 절차는 사내 규정에 근거해 이뤄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해외 수출과 관련해선 이라크 수리온 수출 건에 대해 “대통령실의 별도 지시가 없었고, 현재는 이라크 측 은행에서 선수금 인출을 위한 행정 절차만 진행 중”이라 밝혔다. 말레이시아 FA-50 수출 의혹에 대해서는 “6년여의 장기적 시장 개척 결과로, 마약 밀반입과 연관성은 사실이 아니며, 기업·산업 이미지 훼손에 유의해달라”고 요청했다.
박선원 의원의 지적에 대해 KAI는 이번 의혹이 기업 신뢰와 국내외 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모든 주장에 대해 사실관계 바로잡기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한편, 관련 의혹이 국회와 시민사회를 통해 잇따라 제기되면서 방산업계 투명성 및 공공기관 자금 집행 구조에 대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 역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