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목표치 5,500 제시”…NH투자증권, AI 전환·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NH투자증권이 18일 내년도 코스피 목표치를 5,500으로 제시하며, AI 산업의 구조적 전환과 미국의 금리 인하가 주가 반등의 핵심 배경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시장에 구조적 변화가 본격화되는 국면에서 전략적 투자와 업종별 선별 대응이 중요해졌다고 진단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변화와 정책 대응이 한층 활발해질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은 이날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열리는 '2026년 전망, NH리서치 포럼'을 앞두고 내년 국내 증시 전략과 함께 코스피·코스닥 목표치를 각각 5,500, 1,100으로 발표했다. 미국의 금리 인하 사이클 본격화, 정부와 기업이 주도하는 AI 산업 구조 전환, 한미 제조업 협력, 상법 개정 등 국내외 정책·산업 모멘텀이 반영됐다. NH투자증권은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시장이 분기별로 조정과 반등이 반복되는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자와 업계는 올해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와 함께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내년 금융시장 재편과 AI 벨류체인 성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부상하고 있다고 봤다. 조수홍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내년에는 AI를 필두로 한 구조적 산업 전환에 투자자들이 미리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주요 증권사 역시 내년도 코스피 목표치에 다양한 전망을 내놨다. KB증권은 40년 만의 장기 상승장 진입을 근거로 7,500을 예상했고, 키움증권은 글로벌 관세·인플레이션 우려를 들어 4,500으로 제시했다. JP모건, 씨티 등 글로벌 금융사들도 각각 5,000, 5,500을 진단하며 국내 시장의 정책·산업 모멘텀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NH투자증권은 “AI 인프라 투자와 신성장 정책에 힘입어 코스피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시장 국면별 주도주와 잠재 성장주(다크호스)를 선별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향후 증시 흐름은 신산업 성장과 정책 대응력, 금리 인하 속도와 맞물리며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내년 경제지표와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정부의 AI 산업 전략 등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