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타결 또 불발”…미국 보잉 방산 노조 파업 장기화에 경영 부담 가중
현지시각 26일, 미국(USA)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인근의 보잉(Boeing) 방산 부문 노조가 회사가 제안한 임금 인상안을 다시 거부하면서 노사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IAM) 837지부는 성명을 통해 조합원 투표를 거쳐 사측의 24% 기본급 인상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거부는 임금협상 네 번째 부결로, 노조는 3개월 가까이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잉은 5년에 걸쳐 기본급 24% 인상 등 개선안을 연이어 제안해 왔으나, 노조 측은 퇴직금 인상 등 추가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다며 투쟁 지속을 결의했다. 브라이언 브라이언트 노조위원장은 “보잉 경영진은 근로자들의 실질적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파업은 1996년 이후 29년 만에 단행된 것으로, F-15, F/A-18 전투기, T-7A 훈련기, MQ-25 드론 급유기 등 방산 중추 생산 현장을 직접 멈추게 하고 있다. 방산·우주·안보 부문이 회사 전체 매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생산 차질과 수주 지연, 매출 하락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USA) 항공산업계에서는 올해 초 737 맥스 사고와 시애틀 상용기 부문 파업 등 악재에 이어, 이번 방산 파업이 추가 경영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보잉 경영진은 이미 “신규 인상안에 파격적 개선을 더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노사 간 교착 상태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은 “공급망 전반에 불안이 퍼지고, 핵심 무기체계 생산지연이 미국 안보에도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생산차질과 수주 악화는 실적 부진과 주가 하락 등 전방위 부담으로 번지고 있다.
방산 전문가들은 “장기화된 파업이 보잉 내부 뿐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와 글로벌 공급망에도 상당한 충격을 줄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향후 노사 간 추가 협상 재개 여부와 제도적 중재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파업 장기화로 보잉 경영에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글로벌 항공·방산 시장에서도 그 파장이 확대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