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34만석 노쇼”…김희정, 고속철도 좌석 대량 취소 실태 지적
고속철도 표 예매를 둘러싼 불신과 갈등이 또다시 정치권의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이 설 명절 연휴 기간 34만석 이상의 고속철도 좌석이 미판매 또는 대량 취소된 실태를 밝히면서, 당국을 향한 대책 마련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부산 연제구)은 24일 한국철도공사와 SR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설 명절 미판매 승차권 수가 KTX 31만7000매, SRT 2만3000매 등 총 34만여매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마다 미판매 티켓이 꾸준히 발생해 2020년에는 22만7000매, 2023년에는 49만매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김희정 의원은 거액의 승차권을 반복적으로 구입·환불한 사례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코레일 자료에 따르면, A씨는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3만888매의 표를 구매한 후 99.4%에 해당하는 3만696매를 환불해 약 16억2700만원어치를 취소했다. 또 다른 B씨 역시 7648매를 전량 환불, 5억4200만원에 이르는 금액의 티켓이 명절 전후로 무더기 취소됐다. 대부분의 좌석이 '노쇼'로 남아 고속철도 공급 효율성에 큰 타격을 줬다는 평가다.
정치권에서는 반복되는 미판매·환불 사태에 대한 질타가 잇따랐다. 김희정 의원은 “국민들은 명절마다 열차표를 구하기 위해 새벽부터 피 말리는 경쟁을 치르고 있지만, 반복되는 '노쇼' 문제로 정작 수십만개 좌석이 빈 상태로 운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위약금 조정 및 명절 열차 운행 확대 등 종합적 대책 마련을 통해 명절 열차표 대란 문제를 적극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철도 당국은 “온라인 예매 초기 수요 예측 오류와 명절 특수성을 감안하면 즉각적인 전면 금지 등 극단적 조치는 어렵다”며 “환불 위약금 체계와 예매 시스템 개선을 병행해 누적 노쇼 방지책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해명했다. 일각에서는 위약금 강화, 예매 횟수 제한 등 보다 강도 높은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명절 연휴 고속철도 티켓 전쟁이 되풀이되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대응책 모색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위원회는 후속 대책 논의와 함께 실태조사 확대를 예고하며, 하반기 철도 정책 전반에 대한 감시를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