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특화단지 20개로 확대”…정부, 공급망 클러스터 재편 나선다
소재·부품·장비, 이른바 소부장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공급망 클러스터화’로 진화하고 있다. 정부는 첨단 산업 중심의 ‘5극 3특’ 대형 지역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2030년까지 소부장 특화단지 20개를 조성해, 약 30조원 규모의 기업 투자를 이끌어내는 종합계획을 23일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획이 K-반도체, 첨단 소재 등 국가 전략산업 공급망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기존 용인반도체 소부장 단지 등 10개 특화단지의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지역별·업종별 ‘혁신거점’을 추가 지정하고, 클러스터별로 서로 연계·집적해 경쟁력을 고도화하는 점이다. 정부는 내년 3기 특화단지를 선정해 방산, 화학 등 미지정 핵심 업종과 지역균형에 무게를 둘 계획이다. 지정 후에는 파격적 세제·인프라 지원도 추진한다.

특히 소부장 단지를 단순 생산거점이 아닌 AI·R&D 융합의 혁신 플랫폼으로 키우는 전략이 돋보인다. ‘AI 트윈랩’ 등 디지털 전환 인프라를 도입해 실시간 테스트와 공정 최적화를 지원하고, 지역 공공연구원 37곳의 단지 사무소 개설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국내 소부장 기업의 기술 내재화와 글로벌 허브 도약을 동시에 노린다.
금융·행정·규제 측면에서도 공급망 재편을 위한 지원책이 강화된다. 판로, 연구개발, 규제 해결 등 ‘소부장 상생 패키지’가 도입되며, 투자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우대, 보조금·펀드 매칭 등 다양한 방식을 병행한다. 신속 인허가 패스트트랙과 소재수급 대응센터 등으로 기업의 애로사항도 실시간 해소할 예정이다.
글로벌 공급망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미국·유럽발 반도체·배터리 정책과 중국 리스크를 염두에 둔 시도라는 평가다. 일본·독일 등 해외 주요국도 이미 지역 클러스터와 디지털 생산거점으로 공급망을 재편 중이다. 국내에서는 지자체 책임경감을 위한 제도 개선, 소부장법 개정, 평가 체계 투명화 등도 병행된다.
전문가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섞인 단지형 수직계열화 모델이 실제 공급망 내재화의 관건이 될 수 있다”며 “기술-금융-법제 지원이 균형을 이룰 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이 한국형 공급망 전략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