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전파 교란 실전 훈련”…과기정통부, 민관군 협력체계 강화
GPS 전파혼신 대응 기술과 실전 훈련이 국가 주요기간에 핵심 안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을지연습 기간 중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전파 교란 상황을 실제 해상 이동 조건에서 가정한 민관군 합동 모의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GPS 전파혼신은 정상 신호보다 강한 간섭 전파를 송출해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의 안전한 이용을 저해하는 행위로, 육·해·공 교통은 물론 통신·전력·금융 등 주요 인프라의 시간동기화에도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번 훈련에는 과기정통부, 국토부, 해수부, 국방부, 해경청, 합참, 이동통신사 등 주요 기관이 참여해, 해상에서 이동하며 혼신을 시도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GPS 신호에 의존하는 선박이 사고·좌초되는 긴급상황이 전개되는 동시에, 혼신원 탐지와 구조, 해상 안전조치까지 전 과정을 종합 점검했다.
과기정통부는 전파혼신 감지 즉시 항공기, 선박, 기지국 등 운영 현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위기경보 발령 등 초동조치에 나섰다. 혼신원을 탐지·제거하기 위해 군과 협력, 현장에 총 4개 혼신제거팀을 투입했다. 이번 훈련에는 공군의 전파탐지드론도 동원돼 이동형 교란에 대한 탐지·추적 정확도를 높였고, 해군·해경 함정도 좌초 선박 구조 및 해양 안전 확보에 투입됐다.
특히 기존 훈련이 육상 고정 혼신에 한정됐다면, 이번에는 해상 이동 조건을 새롭게 반영해 민관군 간 실질적 위기대응 역량과 통신·교통 대란 방지 능력을 점검한 것이 차별점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최근 국제 분쟁 지역에서도 GPS 교란 공격이 주요 안보 위협으로 현실화되고 있어, 유사시 국가기간 시스템의 위기대응 체계 확립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훈련 당일 중앙전파관리소 전파종합관제센터를 직접 방문한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GPS 감시·대응체계와 직원들의 즉각적 조치 상황을 점검하며 긴밀한 민관군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향후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 경보, 군민 합동 대응 등 입체적 시스템 확충을 통해 전파혼신 사태의 피해 확산을 조기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산업계는 GPS 기반의 교통·통신·금융 인프라가 국가 운영의 ‘신경망’이 된 만큼, 전파 교란에 대한 예방적 기술 확보와 신속 대응 역량이 산업과 안보 모두의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술과 제도의 이중 방파제가 새로운 국가 인프라 보호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