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실명 위험 진단서 제출”…윤석열, 특검 체포영장 집행 앞두고 건강난 제기
정치

“실명 위험 진단서 제출”…윤석열, 특검 체포영장 집행 앞두고 건강난 제기

박다해 기자
입력

특별검사팀의 체포영장 집행을 하루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 측과 서울구치소, 특검팀 간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악화한 건강 상태를 근거로 “수사와 재판이 어렵다”는 입장을 적극 내세우며 방어전으로 전환했고, 서울구치소와 특검팀은 “건강 문제로 수사 불가 수준은 아니다”고 맞섰다.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31일 오후 진단서, 소견서, 의무기록 사본을 서울구치소에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대리인단은 “모 대학병원 진단에 따르면 석 달째 안과 시술을 받지 못해 실명 위험이 커졌다. 오는 8월 내 시술이 예정돼 있어 외부 진료를 신청했다”며 “심장 혈관 및 경동맥 협착, 자율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체온조절 장애 등 기저질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관상 거동에는 문제가 없어 보여도, 기저질환으로 인해 현재 수사와 재판에 응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이 따른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입장은 앞서 서울구치소 의료과장이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의 현장점검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수사받지 못할 정도로 건강 상태가 크게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공식 확인한 것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김건희 특별검사팀은 내달 1일 오전 9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설 방침이다. 문홍주 특별검사보가 검사, 수사관 등과 함께 서울구치소를 찾아 직접 지휘하고, 집행은 교도관이 담당한다. 특검팀은 앞서 29일, 30일 연속 소환 조사를 시도했으나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사유 불출석이 이어지자 30일 체포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이 31일 오전 영장을 발부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내란 혐의 관련 특검에 구속된 이후 건강 악화를 이유로 조사, 재판 모두 불응 중이다. 이같은 방어론과 맞서는 특검·구치소 측 입장 대립은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보다 격렬한 법적, 정치적 공방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회와 정치권은 윤 전 대통령 측이 건강 진단서 제출 등 적극 방어로 전환한 배경과 특검팀의 물리적·법적 강제력 행사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와 특검팀은 1일 체포집행 결과에 따라 수사 일정과 조치 방향을 조율할 방침이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김건희특검#서울구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