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 위험 진단서 제출”…윤석열, 특검 체포영장 집행 앞두고 건강난 제기
특별검사팀의 체포영장 집행을 하루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 측과 서울구치소, 특검팀 간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악화한 건강 상태를 근거로 “수사와 재판이 어렵다”는 입장을 적극 내세우며 방어전으로 전환했고, 서울구치소와 특검팀은 “건강 문제로 수사 불가 수준은 아니다”고 맞섰다.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31일 오후 진단서, 소견서, 의무기록 사본을 서울구치소에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대리인단은 “모 대학병원 진단에 따르면 석 달째 안과 시술을 받지 못해 실명 위험이 커졌다. 오는 8월 내 시술이 예정돼 있어 외부 진료를 신청했다”며 “심장 혈관 및 경동맥 협착, 자율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체온조절 장애 등 기저질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관상 거동에는 문제가 없어 보여도, 기저질환으로 인해 현재 수사와 재판에 응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이 따른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입장은 앞서 서울구치소 의료과장이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의 현장점검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수사받지 못할 정도로 건강 상태가 크게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공식 확인한 것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김건희 특별검사팀은 내달 1일 오전 9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설 방침이다. 문홍주 특별검사보가 검사, 수사관 등과 함께 서울구치소를 찾아 직접 지휘하고, 집행은 교도관이 담당한다. 특검팀은 앞서 29일, 30일 연속 소환 조사를 시도했으나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사유 불출석이 이어지자 30일 체포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이 31일 오전 영장을 발부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내란 혐의 관련 특검에 구속된 이후 건강 악화를 이유로 조사, 재판 모두 불응 중이다. 이같은 방어론과 맞서는 특검·구치소 측 입장 대립은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보다 격렬한 법적, 정치적 공방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회와 정치권은 윤 전 대통령 측이 건강 진단서 제출 등 적극 방어로 전환한 배경과 특검팀의 물리적·법적 강제력 행사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와 특검팀은 1일 체포집행 결과에 따라 수사 일정과 조치 방향을 조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