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투표관리 미흡 책임 통감”…노태악, 선관위 신뢰 회복 의지 강조
투표관리 부실 논란을 둘러싸고 노태악 선거관리위원장과 국회가 정면으로 부딪혔다. 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선관위원장 이석 관례와 국감 참여 방식에 대해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현장에서는 일부 대선 투표 용지 반출과 대리투표 등 선거관리 문제까지 불거지며 책임 공방이 이어졌다.
이날 노태악 선관위원장은 “대선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치밀하게 대비했지만, 결과적으로 관리 부실과 미흡한 점이 드러났음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잘못을 반면교사 삼아 내부 문제를 직시하고 외부 시선으로 냉정히 평가해 제도와 운영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선거를 통한 민주주의 토대가 단단히 뿌리내리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선관위는 앞서 채용 공정성 제고, 선거 사고 예방 대책 점검을 위해 ‘대국민 신뢰 회복 특별위원회’를 설치한 상태다. 노 위원장은 내년 지방선거와 관련해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정치적 과정이며, 선거 전 과정이 원칙에 따라 공정·투명하게 운영되도록 준비를 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국감장에서는 선관위원장 이석 여부를 두고 여야가 입장을 달리했다.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은 “헌법기관장이라 해도 국회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장처럼 질의응답에 임해야 한다”며 “이석을 허용 말아야 한다”고 맞섰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대법원장의 국감 이석 사례와 선관위원장은 경우가 다르다”며 “사전 협의 없이 문제 삼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반박했다.
정책 질의는 선관위 사무총장 허철훈이 노 위원장 대신 답변하기로 하면서 현장 긴장감이 다소 누그러졌다. 그러나 선거 관리 책임과 국감 절차를 둘러싼 여야 대립 구도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날 국회는 선거관리 신뢰 회복, 국감장 절차 등 핵심 현안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치권은 향후 선관위 운영과 지방선거 준비 과정을 예의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